2분기 ‘300인 이상’ 기업 246만3천명 작년 동기比 2만5천명 급감 ‘빨간불’
2010년 3분기 이후 가장 큰 폭 줄어 영세기업 취업자 증가 3년여만에 최고
종사자 300인 이상인 대기업 취업자가 7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반면, 종사자 1∼4인 규모의 영세기업 취업자 수는 3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나 대조를 이뤘다. 전체 취업자 수는 늘고 있지만, 청년들이 선호하는 ‘질 좋은 일자리’의 사정은 더 나빠지고 있다는 뜻이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300인 이상 대기업 취업자 수는 246만 3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2만 5천 명 줄었다. 이는 2010년 3분기 8만 4천 명 줄어든 이후 27개 분기(6년 3분기)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수치다.
이와 반대로 1∼4인 영세기업 취업자는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올 2분기 1∼4인 기업 취업자 수는 987만 2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 7천 명 증가했다. 2014년 1분기 19만 6천 명 늘어난 이후 13분 기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1∼4인 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2분기 21만 8천 명 줄어든 이후 매 분기 증가 폭이 커지고 있다. 이처럼 대기업 고용상황이 좋지 않은 것은 대기업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제조업이 최근 부진에 빠진 것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달 1만 6천 명 증가하며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로 전환됐지만 2분기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2만 3천 명 줄었다.
반면, 자영업자는 지난해 말보다 증가세가 다소 주춤하긴 하지만 여전히 늘어나고 있다.
2분기 자영업자는 567만 3천 명으로 1년 전 같은 분기보다 6만 6천 명 늘어났다. 늘어난 자영업자 중 79%(5만 2천 명)는 고용원이 없는 ‘나홀로 사장’들이다.
자영업자는 지난해 3분기 5만 2천 명 늘며 1년 반 만에 플러스로 전환되고 나서 4분기 연속 늘어나고 있다. 영세 기업에 취업자가 몰리고, 그마저도 나홀로 사장인 자영업자가 늘어나면서 취업의 질은 여전히 좋지 못한 셈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대기업 고용상황이 좋지 않은 것은 제조업, 금융·보험업 등 덩치가 큰 기업의 고용상황이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영향이 있다”라며 “고용시장이 다소 나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질적으로는 미흡한 모습”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