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기·서울, 한강하구 공동이용 ‘동상이몽’

市, 다핵네트워크형 ‘접경협력 특구’
경기도, 산업별 5개 지자체 육성 서울은 ‘서울~평양 도시교류’ 초점

인천시와 경기도, 서울시 등 3개 시·도가 남북협력 사업인 ‘한강하구 공동이용’ 방안 도출에 이견을 보이며 난항을 겪고 있다.

8일 인천시와 경기도, 서울시에 따르면 9월까지 ‘한강하구 공동이용’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절차로 공동연구과제를 확정짓고 내년부터 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한강하구 공동이용 방안으로 홍콩과 중국 심천간 접경지대 협력으로 만들어진 ‘심천 경제특구’와 같은 성격의 ‘한강하구 다핵네트워크형 접경 협력 특구’를 만들 계획이다.

 

심천 경제특구는 자본·기술력을 앞세운 홍콩과 땅·노동력을 제공한 심천이 협력해 만들어진 경제특구로, 산업구조 조정의 압력을 받고 있던 홍콩에 새로운 탈출구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천시는 심천 경제특구의 경우와 같이 수도권의 자본·기술력과 북한의 부지·노동력을 결합하고 더 나아가 외국자본까지 끌어올 수 있는 특구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경기도는 환경과 도시, 경제, 교통, 남북관계 등 5개 부문으로 나누어 다양한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고양시를 금융·무역 중심 교류지역과 문화콘텐츠 상업 중심 지역으로 키우고, 파주시 장단반도 및 도라산역 일대를 LCD 전후방 연관산업과 개성 공단 연관부품 소재산업 생산 중심 지역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김포와 인천에 레저와 관광 거점으로 만들고, 서울 마포~고양~파주 등 한강변을 따라 분포하는 대규모 관광·거점시설을 조성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서울시는 사업대상지가 한강하구에서 벗어나 ‘서울과 평양간’으로 동떨어져있다”며 “서울시와 함께 공동연구과제를 확정할 수 있도록 논의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한강하구 공동이용 정책을 한강하구가 아닌 ‘서울과 평양간 도시 교류’에 초점을 맞추며, 서울과 평양간을 중심으로 하는 경제발전축을 조성하겠다는 입장이다. 

한강하구는 사실상 서울에 포함돼 있지 않은 지역으로, 서울시는 한강하구를 남북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게 힘들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한반도 고속철도망이 실현될 경우 서울과 평양, 심양, 베이징을 이어 동북아 지역으로 뻗어가는 국제관문으로 서울 대도시권의 역할과 위상을 강화시킨다는 복안이다.

 

남북 경협이 확대되면 ‘해주·개성-서울·김포·파주·고양’ 간 경협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서울시 주변 개발가능지를 물류기지로 성장시키는 방안도 갖고 있다. 서해와 연결하는 한강의 운하기능 부활에 따른 관광객·여행객 급증에 대비해 용산, 여의도, 상암 등에 해운 터미널 기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도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 사업의 대상 지역을 한강하구에서 더 넓혀 도시간 교류로 진행을 해야한다”며 “그렇지 않다면 공동연구과제를 합의하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큰 틀에서는 이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는데 동의하고 있지만 서로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은 상태”라며 “3개 시도가 만족할 수 있을만한 방안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백승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