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금주 ‘슈퍼위크’…한반도 위기 대응, 국정 청사진 주목

북·미 갈등으로 인한 한반도 8월 위기설이 고조되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주 내내 내치와 외치 등 국정 전반에 걸쳐 큰 그림을 제시한다.

 

13일 청와대 등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당장 8·15 경축식 경축사에 이어 오는 17일 취임 100일을 맞아 청와대 출입기자단과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다. 또 국민인수위에 접수된 정책제안을 바탕으로 한 대국민보고대회도 조만간 열릴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굵직한 일정이 예정되면서 문 대통령이 향후 국정운영 기조에 대한 종합적이고 보다 정제된 입장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미국과 북한 간 갈등이 군사적 위협을 주고받는 등 갈등이 격화하면서 한반도 위기감이 극도로 커지고 있는 만큼 대북 정책에 대한 문 대통령의 입장에 관심이 쏠린다. 그간 문 대통령은 북한의 ‘괌 포위사격’ 예고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화염과 분노’로 한반도 긴장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청와대 입장 외 직접적인 메시지를 최대한 자제해 왔다.

 

북미 간 감정싸움에 개입해 상황을 복잡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는 판단 아래 메시지를 극대화할 ‘타이밍’을 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지만 문 대통령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주도적인 입장을 강조한 만큼 신속하게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문 대통령이 8·15 경축사를 통해 북미 양국의 위협 발언 자제를 촉구하고 한반도 평화 번영을 위해서는 북한이 핵·미사일을 포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한반도 문제를 무력 사용이 아닌 외교적·평화적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마침 지난 12일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반도 위기 고조 이후 첫 전화통화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안정 실현을 위한 공동 노력의 필요성에 공감,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잡히는 국면이다.

 

이와 함께 올해 8·15 경축식에는 일제 강점기 조선인 노동자들이 강제노동하던 군함도 생존자가 초청된다는 점에서 대일 및 보훈 메시지가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아울러 상징성이 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는 북한 핵·미사일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남북관계의 획기적인 개선을 담은 이른바 ‘신 베를린 구상’ 기조를 재차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또 국민건강보험 강화를 위한 이른바 ‘문재인 케어’와 8·2 부동산 대책, ‘슈퍼리치 증세’ 등 국내 현안에 대한 입장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