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버스준공영제… 도내 15개 시군으로 확대 운영된다

경기도내 12개 시ㆍ군이 오는 12월부터 버스준공영제를 도입하기로 합의(본보 7월19일자 2면)한 가운데 나머지 시ㆍ군들에서 동참의사를 밝히면서 버스준공영제 추진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14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와 31개 시ㆍ군은 지난달 열린 ‘2017년 도, 시ㆍ군 상생협력토론회’에서 직행좌석형 시내버스(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경기도형 버스준공영제는 수익금 공동 관리형 준공영제로 도가 버스업체의 적정수입을 보장해주는 대신 노선변경이나 버스 증차 등 관리 권한을 갖는 방식이다. 이는 버스의 가동률을 높여 입석률을 낮추고 교대근무 완화로 운전기사 근로여건 개선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부 시ㆍ군에서 예산 문제와 효율성 부족 등의 이유로 난색을 보이면서 당시 버스준공영제에 동참하기로 한 지자체는 김포, 파주, 안산, 안양, 시흥, 포천, 양주, 부천, 의정부, 군포, 의왕, 과천 등 12개에 그쳤다. 현재 광역버스를 운행하거나 경유하는 곳은 총 24개 시ㆍ군으로 절반만이 동참한 것이다.

 

하지만 도내 버스 업계 노동자 400여 명이 지난 9일 경기도청 앞에서 버스준공영제의 전면 시행을 촉구하는 집회를 여는 등 버스준공영제 도입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당시 동참의사를 밝히지 않았던 나머지 시ㆍ군들이 속속 참여 의사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먼저 용인시는 지난 8일 도에 공문을 보내 준공영제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도는 용인시 버스준공영제 적정성 여부 등에 대해 검토하고 있으며 향후 추진 일정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용인시 관계자는 “준공영제 참여로 인해 시는 연간 49억 원가량의 예산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추정되는 등 부담이 큰 것은 사실”이라며 “그러나 궁극적으로 양질의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사업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수원시의 경우 염태영 시장이 지난 10일 직접 운수업체 관계자들을 만나 버스 준공영제 도입을 추진하기로 약속했다. 염 시장은 내년부터 광역버스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준공영제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하며 적극 추진 의사를 보이고 있다.

 

고양시 역시 운수업체 관계자와 간담회를 갖고 버스준공영제 추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고양시는 광역버스 외에도 향후 버스준공영제 시행 대상 범위 확대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동참 여부를 떠나 모든 시ㆍ군에서 버스준공영제 도입에 대한 취지에는 공감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예산부담이 있는 만큼 충분한 논의를 거쳐 합의점을 모색해 많은 시ㆍ군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진경ㆍ유병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