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드기 방지용 ‘와구프리블루’ 70병 친환경 농장 5곳에…뒤늦게 회수
더욱이 시는 올해 최초로 이 무해약품을 선제 보급했는데도 이를 농가들이 사용하지 않아 사태가 발생했다며 유감 입장까지 표명, 제품의 특성도 파악하지 못한 미흡한 행정과 면피성 행정이라는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시는 사태가 커지자 뒤늦게 보급한 약품 회수에 나섰다.
18일 남양주시와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지난 4월 ‘닭 진드기 방제약품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서울ㆍ부산ㆍ울산ㆍ대전을 제외한 13개 시ㆍ도에 방제약품 구입비 중 50%인 1억5천만원을 지원하면 나머지 50%는 지방비로 충당하도록 하는 식의 ‘닭 진드기 방제약품 지원’ 사업을 추진했다.
시는 앞서 유럽 지역의 ‘살충제 계란’ 파문이 일자 문제가 됐던 피프로닐에 대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관내 3천 수 이상 산란계 농가 5곳에 닭 진드기 구제용 약품인 ‘와구프리블루’ 70병(1병당 닭 14만 수 방제)을 공급했다. 이 가운데 피프로닐이 함유된 살충제를 사용해 논란이 일어난 마리 농장도 시로부터 42병을 공급받았다.
이후 시는 지난 15일 국내에선 처음으로 살충제 계란 파문이 남양주에서 발생하자 “2017년 최초로 산란계 농가에 인체 무해 약품인 ‘와구프리블루’를 보급했는데도 해당 농가에서 (이를 사용하지 않아)불미스런 일이 발생해 안타깝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이 와구프리블루가 친환경 인증 농가에선 사용할 수 없는 유기합성 농약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제대로 된 확인조차 하지 않은 채 책임 회피성 입장을 밝힌 남양주시가 망신살을 뻗치게 됐다.
한 농장주는 “마치 시가 보급한 제품을 사용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한 것처럼 농가들을 몰아가더니 결국 본인들도 확인하지 않은 제품을 나눠준 것 아니냐”면서 “계란 사태 책임을 농가에만 지게 하려는 의도가 불 보듯 뻔하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친환경 농장에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라는 게 뒤늦게 확인돼 2일간에 걸쳐 전량 회수했다. 다행히 이를 사용한 농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과거엔 피프로닐에 대한 문제가 없었는데 정부에서 느닷없이 유럽기준을 적용해 문제가 커지는 상황이다. 회수한 제품은 구매 업체에 반납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남양주=하지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