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대통령 취임 100일 시점의 역대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률과 비교했을 때 김영삼 전 대통령(83%·1993년 6월) 다음으로 높았다.
문 대통령의 국정 긍정평가는 4주 연속 70%대 후반을 기록했다. 지역별 긍정평가는 광주·전라(95%), 인천·경기(81%), 서울(77%), 대전·세종·충청(77%), 대구·경북(60%)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국정 긍정평가 이유로 ‘서민 위한 노력·복지 확대’(19%), ‘소통 잘함·국민 공감 노력’(19%),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7%), ‘개혁·적폐청산·개혁 의지’(5%) 등을 꼽았다.
반면, 문 대통령의 부정 평가는 15%로 한 주 전보다 1% 포인트(p) 올랐고, 7%는 의견을 유보했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과도한 복지’(16%), ‘보여주기식 정치’(11%), ‘독단적·일방적·편파적’(9%), ‘북핵·안보’(8%) 등이 꼽혔다.
갤럽은 “긍정평가 이유에서는 ‘서민 위한 노력·복지 확대’가,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과도한 복지’와 ‘보여주기식 정치’ 응답이 늘었다”며 “현 정부가 최근 공표한 아동수당 신설·기초연금 인상 등 복지 정책들에 대한 상반된 반응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앞서 말한 문 대통령과 김영삼 전 대통령을 제외한 취임 100일 시점 역대 대통령 지지율을 살펴보면, 김대중 전 대통령 62%(1998년 6월), 노태우 전 대통령 57%(1988년 6월), 박근혜 전 대통령 53%(2013년 6월), 노무현 전 대통령 40%(2003년 5월 31일), 이명박 전 대통령 21%(2008년 6월) 순이었다.
갤럽은 “김영삼 전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1993년 3월 조사에서 직무 긍정률 71%를 기록했으나 이후 하나회 척결, 역사 바로 세우기, 공직자윤리법 개정, 금융실명제 등으로 더 큰 호응을 얻었다”며 “이명박 전 대통령은 당시 미국산 소고기 수입 반대를 위한 촛불 집회가 지속 중이었다”고 설명했다.
갤럽은 이어 “2000년 6월 제정·도입된 고위공직자 인사청문회법이 2005년 7월 모든 국무위원으로 확대 적용되면서 제13~15대 대통령(노태우·김영삼·김대중)에 비해 16~18대 대통령(노무현·이명박·박근혜)은 취임 초기 인사청문회로 인한 논란이 상대적으로 많아 직무 평가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당선인 신분 기간 없이 개표 종료 직후 바로 취임했다는 점에서 전임 대통령들과 다르다는 점을 비교 시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당 지지율에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전주보다 3% 떨어진 47%를 기록했다.야당은 자유한국당은 11%, 바른정당은 7%, 정의당(5%), 국민의당(4%) 등의 지지율을 보였고,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24%로 나타났다. 대선 이후 최대수준을 이어갔다.
김상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