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27일 경기도문화의 전당, 한국, 중국, 북한 판화 160 여점 전시
한신대학교 한중문화산업대학은 21~27일 경기도문화의 전당 소담한 갤러리에서 한·중 수교 25주년 기념 판화전 <비 온 뒤에 땅이 굳는다.>를 개최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주대한민국대사관 교육처가 후원하는 이번 판화전에는 한국, 중국, 북한 작가들의 판화작품 160여 점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는 동북아의 평화분위기 조성을 기원하는 동시에 자문화중심주의의 문화적 편견에서 벗어나 문화를 통해 서로 이해하고 소통하며 거시적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안목을 키우는 것이 기획의도다.
먼저 한국 작품으로는 남관, 김흥수, 이항성, 김구림, 곽덕준, 오세영, 이왈종, 김상구, 김점선, 이두식, 박불똥, 김효제 등의 명품 판화 50여 점이 ‘여인’, ‘풍경’, ‘생활의 발견’, ‘추상’, ‘민중판화’ 등의 주제로 전시된다.
중국 작품으로는 중국 미술계의 사대천황으로 불리는 왕광이, 장샤오강, 위에민준, 팡리쥔을 비롯한 40여 명 작가의 걸작을 ‘아방가르드’, ‘老百姓의 일상생활’ 등의 주제로 전시된다.
또 이번 전시회에는 북한의 제1대 판화가인 배운성, 정현웅, 김건중, 손영기부터 그들의 제자인 제2대 판화가 백학훈, 함창연, 리정섭, 한태순, 황인제, 홍춘웅, 황복신, 그리고 제2세대의 제자인 제3세대 김영훈 그룹과 김영훈의 제자인 제4세대 백영미의 작품 70여 점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소개된다.
이 작품들은 ‘민속’, ‘풍경’, ‘주제화’의 세 개 범주로 분류되는데, 특히 북한의 4대 판화가로 손꼽히는 배운성, 함창연, 리정섭, 김영훈의 작품이 북한 판화의 정수라 할 수 있다.
김용표 한신대 한중문화산업대학장은 “한중수교 25주년임에도 국내외 어려운 사정으로 인해 많은 기념행사가 취소되는 상황 속에서도 특별히 중화인민공화국 주대한민국대사관 교육처가 이번 행사를 후원해줘서 감사하다”며 “앞으로 ‘구름이 용을 따라가듯, 바람이 호랑이를 따라가듯’ 서로 격려하고 도와주는 한중관계의 밝은 모습이 펼쳐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개막식은 지역 지자체장과 국회의원, 중국대사관 주요인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21일 오전 11시에 열린다.
오산=강경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