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 신생·소멸 기업 모두 찾아보기 힘들다”

현대경제연구원…최초 제품도 점점 줄어, 고부가 제조업으로 변신해야

▲ 현대경제연구원
▲ 현대경제연구원

한국 제조업의 활력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4일 발표한 ‘국내 제조업의 신진대사 진단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활동하는 기업에서 새로 생겨난 기업의 비율인 제조업 신생률은 2011∼2015년에는 연평균 14.9%로 하락했다. 2006∼2010년 사이 연평균 18.1%였다.

 

또 전체 기업에서 사라진 기업의 비율을 나타내는 소멸률도 같은 기간 11.7%에서 10.1%로 낮아졌다. 신생률과 소멸률을 합친 교체율은 2011∼2015년 기준으로 연평균 25.0%를 기록했다. 이는 독일(53.8%), 미국(46.9%)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제조업 업계에서 신생기업도 소멸기업도 찾아보기 힘들어진 것이다.

 

또 2000년 이후 생긴 국내 제조업체 중 올해 기준으로 포브스 글로벌 2000순위에 진입한 기업은 2개에 불과해 미국(22개사)이나 일본(11개사)보다 크게 적었다.

 

세계 최초인 제품을 선보였다는 기업도 감소하고 있다. 2009∼2011년에는 지난 3년간 세계 최초인 제품을 내놓은 적이 있다는 기업의 응답률이 5.0%였지만 2013∼2015년에는 3.2%로 줄었다.

 

사업구조 재편도 더디고 저 수익성 사업구조도 지속되는 중이다. 포브스 글로벌 500에 속한 8개 한국 제조업체 중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새로 만들거나 철수한 사업부문은 고작 4개였다.

ㅌ‘

미국 제조업체는 21개사에서 29개 사업부문이, 일본은 20개사에서 43개 사업부문이 재편됐다. 또 한국은 사업부문별 영업이익률이 5% 이하인 사업부문의 비중이 67%나 됐고 15% 이하인 비중도 96%였다. 그러나 미국은 5% 이하가 32%, 15% 이하는 54%에 그쳐 활발한 사업재편을 통해 고수익 사업 구조를 구축했다.

 

이장균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제조업 고도화를 위해서는 산업 활동 별로 전반적인 정책 점검과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며 “제조업체들도 사업재편과 사내벤처 및 사업분할, M&A 활성화를 통해 고부가의 제조업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