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비율 상승한 은행권… 씨티 최고, 케이뱅크 상위권

KB, 은행지주사 중 자본비율 최고 …JB·DGB·BNK, 하위

▲ 여의도 금융가/경기일보DB
▲ 여의도 금융가/경기일보DB

국내 은행들의 자본비율이 당기순이익 증가의 효과로 인해 상승했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반기말 기준 18개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평균 총자본비율은 15.37%, 기본자본비율은 13.25%로 잠정 집계됐다.

인터넷 전문은행 케이뱅크를 제외한 17개 은행의 보통주자본비율은 12.72%다. 카카오뱅크는 다음달 말부터 자본비율 집계 대상이다.

은행들의 총자본비율은 3월 말보다 0.23%p, 기본자본비율은 0.28%p, 보통주자본비율은 0.26%p 높아졌다. 이들 자본비율은 위험가중자산 대비 각각의 요건에 해당하는 자본의 값이다.

은행들은 당기순이익이 4조9천억 원 증가했고, 유상증자 1조5천억 원이 추가되는 등 자본이 확충되면서 총자본이 6조1천억 원(2.93%) 늘어났다. 위험가중자산은 환율 상승과 현물 출자 등으로 19조 원(1.36%) 증가했다. 자본비율이 상승한 이유는 위험가중자산보다 자본 증가율이 높기 때문이다.

은행별 총자본비율은 씨티은행(18.96%), 케이뱅크(17.38%), SC은행(16.84%) 순으로 높았다. 제주은행(13.38%)과 수출입은행(12.42%)이 하위권이다. 케이뱅크는 일반 은행보다 느슨한 ‘바젤Ⅰ’ 규제가 적용돼 자기자본비율을 총자본비율로 간주한다.

은행을 자회사로 둔 7개 은행지주회사의 총자본비율은 14.54%, 기본자본비율은 13.02%, 보통주자본비율은 12.53%다. 3월 말보다 각각 0.08%p, 0.12%p, 0.16%p 올랐다. KB금융지주(15.47%)의 총자본비율이 가장 높았고 JB금융지주(12.13%), DGB금융지주(12.80%), BNK금융지주(12.91%) 등 지방 금융지주사의 비율이 낮은 편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내 은행·지주사들의 총자본비율은 미국 은행들의 평균치인 14.47%보다 높고, 바젤Ⅲ 규제 비율도 웃도는 등 양호한 편”이라고 전했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