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그린허브 코리아’ 세미나
조류발전·해상풍력 등 대안 모색
인천시가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정책 변화에 맞춰 해상풍력과 해양에너지를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4~5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진행된 ‘글로벌 그린허브 코리아 2017’에서 진행된 에너지신산업 투트랙 세미나 중 ‘트랙2’에서 시 에너지정책과 조현오 팀장은 ‘해양에너지 조류발전 신산업 창출 및 발전방향’이란 주제로 ‘에너지신산업 30-20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해당 전략은 오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율을 20%까지 높이는 내용의 정부 국정과제다. 시는 조수간만의 차가 큰 서해의 특성을 살린 조류발전 등 해양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산업을 추진으로 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일 계획이다.
‘트랙1’에서는 제주에너지공사 김태익 사장은 제주도 풍력자원 개발 추진 상황과 함께 이익공유화 제도 운용 취지, 도민 참여형 신재생에너지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이어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김동주 위원, 두산중공업 이기윤 소장, 비전플러스 최성재 연구소장은 풍력발전 조성사례와 관련 기술을 소개하고,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김정환 본부장은 지역산업과 연계한 해상풍력 발전 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 발표자로 나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성진기 팀장은 해상풍력 산업화를 위한 법규 제도 및 인ㆍ허가 원스톱 서비스 방안,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해상풍력 개발위원회 신설, 해상풍력 지구지정제(계획입지) 등을 제안했다.
시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도시에너지 기반 마련을 위해서는 태양광 발전으로는 한계가 있어 해상풍력, 해양에너지 등 대형 발전 사업이 가능한 해양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며 “이번 세미나에서 언급된 내용에 대해서는 전국 지자체 및 정부와 지속해서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