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이주민 인천경찰청장 “사회적 약자 울리는 범죄 엄단”

경찰조직내 ‘갑질 문화’ 퇴출에 총력
인권보호 최선… 강화경찰 논란 쐐기

▲ 이주민 인천경찰청장 인터뷰사진

“여성과 관련된 성범죄뿐 아니라 아동ㆍ노인ㆍ장애인 학대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를 발본색원한다는 생각으로 업무를 추진해 나갈 것이다.”

 

이주민 인천경찰청장은 5일 취임 1달을 맞아 가진 인터뷰를 통해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차단에 우선순위를 두겠다고 밝혔다.

 

이 청장은 경찰조직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갑질’ 문화도 대대적으로 바꿔 나갈 것임을 내비쳤다.

 

그는 최근 들어 상납 같은 과도한 갑질보다는, 일부 중간관리자들의 소극적인 갑질이 문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진단했다.

 

이 청장은 “경감이나 경정 등 중간관리자급에서 권위주의적 성향이 남아있어, 신세대 직원들과 마찰이 생겨왔다”며 “해묵은 생각을 버리고 새롭게 바뀌도록 하기 위해 최근 경감ㆍ경정급 500여 명의 중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워크숍도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 청장은 국민의 인권 보호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지난달 27일 강화경찰서 소속 경찰 2명이 절도 및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체포된 피의자를 파출소로 연행해 조사하던 중 뺨을 때린 것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이다.

 

이 청장은 “현장에서 물리적 행위가 있다면 테이저건을 쏘고, 칼을 들고 난동을 부리거나 인명상살의 위협이 있다면 과감하게 총도 쏴야 하지만, 당시는 그런 상황이 아니었다”며 “검거 후 조사받는 과정에서 뺨을 때린 건 적절치 못한 대응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권보호로 공권력이 약화될 수 있을 것이란 우려에 대해선 “경찰력 행사도 비례의 원칙이 있는데, 이번 폭행의 경우는 이것을 넘어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인천이 치안지표가 현실에 비해 저평가 받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초등생 살인사건 같은 강력사건 때문에 체감안전도가 떨어지지만, 이런 사건들은 인천에서만 벌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

 

이 청장은 “전국 5대범죄 검거율 평균치가 80%인 것에 비해, 인천은 85.5%로 전국 최고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강력범죄나 교통사고도 많이 줄어드는 등 전반적 지표가 좋아지고 있다”고 언론의 적극적인 홍보를 당부했다.

김준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