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외국 정상 ‘북핵 외교 다변화’…북핵 논의

유엔(UN)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릴레이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 핵·미사일 문제, 기후변화 등 국제 사회의 주요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며 다자외교를 펼쳤다.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기존 4강 외교의 틀을 뛰어넘어 유럽과 아프리카 등에까지 외교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전략 차원에서다. 더욱이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결의 2375호의 성실한 이행을 위한 유엔 회원국들과의 협력 기반 구축 차원에서도 중요성을 갖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유엔 회의장에서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다. 양국 정상은 안보리를 중심으로 북한의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하는 한편, 북핵 문제가 평화적인 방식으로 근원적·포괄적으로 해결될 때까지 긴밀히 협력하고 소통하기로 했다. 또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와 상관없이 한·영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아프리카 국가 정상과 첫 회담을 가졌다. 문 대통령은 이날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인 세네갈이 국제무대에서 한국의 입장을 지지해 온 데 사의를 표했다. 회담에서는 방산분야 협력도 주요 의제였다.

 

문 대통령은 “세네갈 공군이 한국산 훈련기를 도입하는 등 양국 간 국방·방산 분야 협력이 긴밀하게 추진돼 왔다”고 밝혔다. 공적개발원조(ODA) 협력도 거론됐다.

 

문 대통령은 이에 앞서 밀로쉬 제만 체코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 공조방안 등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

 

특히 제만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체코 정부의 확고한 지지를 재확인하면서 “나는 평소 대한민국을 ‘사우스 코리아’가 아닌 ‘코리아’라고 호칭한다”며 특별히 친근함을 과시하기도 했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가 제출한 휴전 결의안을 언급, “예정대로 많은 국가들에 의해 채택되면 안전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고 북한이 참여하면 안전은 더욱 보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바흐 위원장은 “한국이 제출한 휴전결의안 초안이 많은 국가로부터 호평을 받고 많은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기후변화 주요국 정상급 대화에도 참석해 “탄소를 많이 배출해 온 선진국들이 더욱 무거운 책임감으로 적극적인 의지를 가져야 할 것”이라며 “한국은 석탄 화력과 원전 의존도를 점차 줄여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0%까지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몽골과 시베리아의 청정에너지 자원을 동북아 에너지 슈퍼 그리드로 연결하는 구상도 공개했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