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7명은 부실시공의 우려로 인해 건물을 짓기 전 분양 계약을 하는 ‘아파트 선분양제’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9일 만 19세 이상 도민 1천 명을 대상으로 아파트 부실시공 및 선분양 제도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 중 26%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에서 부실시공으로 인한 문제가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시공 유형으로는 ‘누수 현상’이 25%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는 방음 미흡(24%), 단열 미흡(16%), 벽면 균열(9%), 하수구 배관부실(9%) 등이 뒤를 이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연립ㆍ다세대주택’에 거주하는 도민 중 28%가 부실시공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아파트와 단독주택의 경우 25%가 부실시공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부실시공 문제로 인해 대부분의 도민들은 아파트를 짓기 전 분양 계약을 체결하는 ‘선분양 제도’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선분양 제도에 대한 인식’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73%는 ‘아파트 짓기 전 계약이 체결돼 부실시공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현행 아파트 선분양 제도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답했다. ‘건설비 사전 확보로 주택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는 긍정적 이유로 선분양 제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3%에 그쳤다.
특히 현재 거주하는 주택에서 부실시공으로 인한 문제를 겪은 이들의 경우 81%가 재검토에 동의하며 선분양 제도 재검토 필요성에 대해 크게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도가 진행하고 있는 ‘공동주택 품질검수 제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14%만이 알고 있다고 답해 홍보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논란이 된 부영아파트 부실시공에 따른 조치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5%가 ‘충분한 조치를 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나머지 23%는 더욱 강력한 처벌 등을 요구하며 ‘미흡한 조치’였다고 응답했다.
도 관계자는 “도내 아파트에서 부실시공 문제가 확산하면서 선분양제도에 대한 도민들의 불안감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면서 “도는 부실시공 문제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도민들이 공동주택 품질검수 제도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유·무선 RDD를 활용한 전화면접조사를 통해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p다.
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