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원인과 뇌물수수 의혹 사건을 놓고 여야가 주말 내내 날 선 설전을 벌여 정쟁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원순 서울시장이 앞서 지난 20일 CBS라디오에 출연, “내가 아는 최대의 정치보복은 (이명박 정부가) 노 전 대통령에 대해 했던 것이다. 그로 인해 노 전 대통령이 불행한 선택을 한 것이 아니냐”라고 언급한 것이 발단이다.
이에 곧바로 자유한국당 정진석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노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 씨와 아들이 박연차 씨로부터 수백만 달러의 금품 뇌물을 받은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은 뒤 부부싸움 끝에 권 씨는 가출하고, 그날 밤 혼자 남은 노 대통령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이라며 자극적인 표현을 사용해 반박했다.
그러자 민주당은 법적 대응 의지를 밝히며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이었던 김경수 의원은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허위사실로 고인과 유족을 욕보이셨으면 그에 따른 응분의 법적 책임을 지면 된다”며 “이번에는 어떤 타협도 없을 것임을 미리 알려 드린다”고 일갈했다.
이에 질세라 한국당에서도 당 차원의 논평을 내며 전선이 확대됐다.
한국당 강효상 대변인은 “이번 논란의 본질은 문재인 정부가 자행하고 있는 정치보복”이라며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노 전 대통령 뇌물사건의 진상을 밝히는 재수사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정 의원을 지원사격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정 의원은 페이스북에 “노 전 대통령의 비극적 결심이 이 전 대통령의 정치보복 때문이었다‘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올린 글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민주당 백혜련 대변인(수원을)은 24일 논평에서 “그 저의를 의심할 수밖에 없는 저열한 정치공세”라며 “마치 전가의 보도처럼 고 노무현 대통령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불순하고 치졸한 행태는 반드시 역사적, 법적 단죄를 받아야 할 것”이라고 경고, 여야 간 충돌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김재민·구윤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