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사건·사고 피해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음에도 재외공관의 대응은 주먹구구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자유한국당 원유철 의원(평택갑)이 27일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해외 사건·사고 피해자수는 지난해 9천290명으로 지난 2014년(5천952명)에 비해 56% 증가했다.
특히 올해에는 상반기에만 4천454명에 달해 하반기까지 포함하면 증가 폭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2년간 해외 사건·사고 피해자가 폭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을 도맡은 재외공관의 대응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 세계 180여 개 재외공관에서는 사건·사고가 발생하면 담당 행정관 등은 e영사(consul) 프로그램에 관련 정보를 입력하도록 돼 있는데, 외교부 훈령 등에는 한글성명, 주민등록번호를 제외한 영문성명, 여권번호, 연락처, 국내연고자 및 연락처, 주소 등은 모두 ‘임의’ 입력사항으로 돼 있기 때문이다.
원 의원은 “사후 긴급대응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항목이 ‘임의’ 입력사항으로 돼 있다”면서 “영사 측의 대응이 주먹구구일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