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연륙교 손실보전 최소화 정부 입장 확인… 市, 착공 결정을”

박남춘·송영길·홍영표 등 민주 의원 7명, 국토부장관 면담

더불어민주당 인천지역 국회의원들이 제3연륙교 운영 정책을 통한 조기 착공 방안을 제시했다.

 

박남춘ㆍ송영길ㆍ홍영표ㆍ윤관석ㆍ신동근ㆍ유동수ㆍ박찬대 등 더불어민주당 인천지역 국회의원 7명은 27일 국회에서 김현미 국토부장관과 인천 현안에 대한 협의를 가진 뒤 제3연륙교 조기 착공을 인천시에 요구했다.

 

이들은 제3연륙교 개통 시 민자법인인 영종·인천대교에 지불해야 할 손실보전금( 6천억원 추정)문제를 제3연륙교 통행료 조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우선 건설비 일부를 부담한 인천 시민은 통행료를 무료로 하고, 외지인 통행료 조정을 통해 영종·인천대교에서 제3연륙교로 전환되는 교통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3연륙교 외지인 통행료를 영종·인천대교와 같거나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한다면, 제3연륙교로 전환되는 교통량이 매우 적은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들은 제3연륙교 통행료 책정 권한을 가진 인천시의 의지에 따라 손실보전금을 최소화 하거나, 경우에 따라 손실보전금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상황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윤관석 의원은 국토부와 협의 결과 “3연륙교 조기 착공은 인천시민의 숙원 사업인데다. 인천대교의 교통량이 실시협약 교통량의 100%를 유지할 수 있어 손실보전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라며“오늘 김현미 국토부장관도 이같은 입장을 확인한 만큼 인천시만 입장을 결정하면 즉시 착공도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한편, 제3연륙교는 지난 2005년 개발계획이 수립된 영종과 청라를 연결하는 4.88㎞의 해상연륙교다. 5천억원에 달하는 건설비는 영종 및 청라지구 분양 당시 조성원가에 포함해 확보됐지만, 인근 민자도로인 영종ㆍ인천대교의 손실보전금 보상 문제로 사업 착수가 늦어지고 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