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공천룰’ 윤곽 인천정가 ‘물갈이’ 촉각

민주당, 선출직평가 진행… 하위 20% 점수·득표수 10% 감산
한국당은 정치 신인 영입·전략공천 확대로 현역들 초긴장

각 정당이 내년 6·13 지방선거 공천 방식을 속속 결정하면서 인천지역 정가가 촉각을 세우고 있다.

 

27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변경된 공천 방식에 따라 출마 예정자들의 유·불리가 갈리면서 대대적인 ‘현역 물갈이’ 설까지 나돌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내년 지방선거 공천에 앞서 선출직평가를 진행하고, 하위 20%에 포함된 인사들에 대해 공천심사 및 경선에서 점수와 득표수를 10% 감산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지역의 민주당 소속 현역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은 앞으로 진행될 선출직평가 결과가 내년 지방선거 공천의 향방을 가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현직 국회의원은 이번 선출직평가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아무래도 하위 20%에 들어갈 가능성이 일말이라도 있는 선출직평가 대상자들의 걱정이 더 깊을 수밖에 없다”라며“광단체장들에 출마하려는 국회의원에 대한 선출직평가는 현 당헌·당규상 할 수 없다”며 고 설명했다.

 

자유한국당 혁신위원회는 전략공천을 확대해 청년 및 여성을 포함한 유능한 정치 신인들로 절반 이상 영입한다는 혁신안을 27일 결정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자유한국당 인천시당 소속 현역 구청장 6명과 시의원 23명 등이 긴장하는 모양새다. 달라진 공천룰 때문에 내년 지방선거에서 자리 보존을 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 A시의원은 “행정사무 감사 등이 남아 있지만, 대부분의 의원들이 서서히 내년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분위기”라며 “이번 공천룰 변화가 현역에게 어떤 변화를 줄지 이해득실을 따지고 있다”고 털어놨다.

 

인천지역 국민의당, 바른정당, 정의당 인사들은 공천 방식보다 정책 및 후보 연대 가능성에 더 많은 관심을 두는 모습이다. 현재까지 이들 정당은 연대 가능성을 부정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지방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오면 일부 정당 간 연대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국민의당 인천시당의 지방선거 정책 연대 추진 등을 두고 정당 간 연대 가능성이 덩달아 언급됐던 것도 같은 이유다.

 

지역의 한 정치 인사는 “지금까지 나온 이야기들 외에도 세부 경선 룰 등 구체적인 공천 방식이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 울고 웃는 사람들이 명확하게 나눠질 것으로 본다”며 “정치권 안팎에서 한창 논의 중인 기초단위 정당공천제 폐지를 비롯해 정당 간 연대 가능성 등도 정당별 공천 방식 결정과 함께 눈여겨 봐야 할 부분이다”고 말했다.

 

주영민·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