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민방위 경보 사각지역 ‘18곳’… 수원 우만1동·용인 상하동 등

경기도내 민방위 경보 사각지역이 18곳으로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바른정당 황영철 의원이 23일 행안부로부터 제출받은 ‘민방위 경보 사각지대 현황’에 따르면 전국의 민방위 경보 사각지역은 읍 19곳, 면 93곳, 동 100곳 등 총 212곳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 지자치단체별로 살펴보면 전북이 36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인천이 32곳, 충북 27곳, 대구 19곳, 경남 16곳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광주 2곳, 전남과 제주 각각 3곳·5곳으로 민방위 경보 사각지역이 적었다.

 

경기도는 읍 2곳, 동 16곳 등 총 18곳으로 집계됐다.

수원의 우만1동, 용인의 상하동·영덕동·기흥동·서농동, 성남의 복정동·창곡동·위례동, 안산의 안산동, 화성의 동탄 4동, 시흥의 장곡동·능곡동, 광명의 소하2동, 오산의 신장동, 여주의 중앙동, 구리의 갈매동, 평택의 청북읍, 가평의 가평읍 등이 포함됐다.

 

도 관계자는 “국비 지원사업으로 경보기 설치를 진행하고 있지만 신도시가 많아 설치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의 경우 읍 1곳, 면 14곳, 동 17곳 등 총 32곳에서 민방위 경보를 들을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동 17곳은 △영종동 △용현3동 △도화2,3동 △송도1동 △송도3동 △논현고잔동 △남촌도림동 △산곡1동 △산곡2동 △산곡3동 △부개3동 △효성1동 △계양1동 △계양2동 △계양3동 △청라3동 △검단5동이고, 읍 1곳은 강화읍이다.

 

면 14곳은 ▲선원면 ▲불은면 ▲길상면 ▲화도면 ▲양도면 ▲내가면 ▲하점면 ▲송해면 ▲교동면 ▲삼산면 ▲백령면 ▲덕적면 ▲영흥면 ▲자월면으로 파악됐다.

 

행안부의 경보설치 기준이 접경지역 인구 200명 이상, 그 외 지역은 인구 3천 명 이상인 점을 고려하면 실제 경보를 듣지 못하는 국민은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황 의원은 “언론과 재난문자 등을 통해 적의 공격과 중대한 재난상황의 전파가 가능하더라도 외부활동 중인 국민이 가장 먼저 위기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 민방위 경보”라며 “조속히 경보시설을 확충해 경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