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검찰총장 "엄정하게 하는 걸로 안다. 격려해달라”
이명박 아들 이시형 다스 논란에
“다스는 누구 겁니까?”
다스 실소유주 논란이 계속해서 이어지는 가운데 27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도 이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질의가 집중됐다.
이날 국감에서 노회찬 정의당 의원은 “‘다스는 누구 겁니까’라는 말이 국민적 유행어처럼 번지는 것을 알고 있느냐”고 문무일 검찰총장을 향해 질문했다. 노 의원은 “10년 전 당시 검찰에서는 검찰이 할 수 있는 모든 조사를 다 해도 (다스가) 이명박 것이라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며 “그런데 10년 후인 지금까지 논란이 거듭하고 있고, 의혹이 뜨겁게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문 총장은 “당시 제가 대검에 근무했는데, 당시에도 제기된 의혹이 있어서 관련 내용을 조사했고 자금추적도 광범위하게 했다”면서 “자금이 어디로 유출됐는지 귀착지를 못 찾은 것으로 이번에 보고 받았다”고 답했다. 또한, 문 총장은 “여러 의혹이 제기됐고, 고발도 여러 건 나왔다”며 “철저히 수사해서 엄정하게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문 총장은 “중앙지검의 일선 검사들이 역사적 사명을 가지고 수사하고 있을 것”이라며 “과거에 잘못된 일들이 우리나라에서 다시 발생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으로 지휘고하를 막론하고 엄정하게 하는 걸로 안다. 격려해달라”고 말했다.
앞서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도 23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서울고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같은 질문을 받았다.
윤 지검장은 ‘다스는 누구 것이냐’는 더불어민주당 이춘석 의원의 질문에 “저희는 법률적으로 누구 것이냐를 확인해야 하는 입장”이라며 “얼마 전 사건을 배당했다”고 밝혔다. 윤 지검장은 이 전 대통령 출국금지 여부에 대해선 “아직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다스는 연매출 2조 원이 넘는 자동차부품 제조 업체다. 지난 2007년 당시 대선 후보였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다스의 실제 소유주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됐다. 2008년 BBK 특검은 “다스가 이명박 소유라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으나, 최근 지분이 1%도 없는 이 전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 씨가 다스 중국 법인 4곳의 대표로 선정됐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다스의 실소유주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정자연기자
사진-이명박 이시형 다스, 문무일 검찰총장이 27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