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순자, 한 대에 설치예산 약 1억 소요되는 지진계 다수 ‘먹통’

▲ 사본 -박순자의원 증명사진
행정안전부가 주요 시설이 지진에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하고, 추가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한 조치로 전국 곳곳에 한 대 당 약 1억 원가량을 들여 지진계측기를 설치하고 지난해 9월11일 경주 지진 이후 이를 확대해가고 있으나 일부 지진계는 사실상 ‘먹통’인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도청과 각 시·군에 설치된 계측소 중 일부도 자주 데이터 미전송 사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3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자유한국당 박순자 의원(안산 단원을)이 행안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587개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중에서 하루도 빠짐없이 계측결과를 행안부에 전송한 계측소가 16개(약 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머지 97% 중 올해 100일 넘게 계측이 안 된 계측소는 11개소, 지난해에는 단 하루도 계측이 안 된 계측소가 8개소, 300일 넘게 계측이 안 된 곳도 무려 18곳이나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 지자체 계측소의 경우, 도청 계측소가 올해 정류기 불량 등으로 20일간 데이터가 미전송됐고, 구리시청 계측소는 2015년 20일, 지난해 39일, 올해 21일 등 매년 데이터 미전송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평군청 계측소는 시스템 노후화로 인한 간헐적 장애 발생 등으로 2015년 72일, 올해 62일 데이터가 미전송됐으며, 프로그램 교체 등 조치 후 현재 정상 운영 중이다. 

 

박 의원은 “지진계측 자료가 실시간으로 행정안전부에 전송되지 않는건 물론이고 그 자료를 제대로 활용하지도 못하고 있다”면서 “행정안전부는 지진계측기 전수조사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하루빨리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