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 비정규직 임금 차 줄었다지만 아직도 배 가까이 차이

비정규직 156만원, 정규직 284만원…비자발적 비정규직 ‘당장 돈 필요’

▲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지난해보다 7만1천원 상승한 156만5천으로 나타났다. 자료/통계청
▲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지난해보다 7만1천원 상승한 156만5천으로 나타났다. 자료/통계청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가 줄어들고 있지만 아직도 배 가까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 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6월에서 8월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42만3천원이다. 지난해보다 2.3%, 5만5천 원 인상된 금액이다. 이중에 정규직 평균 임금은 284만3천원으로 지난해보다 4만8천 원 올랐다. 비정규직은 156만5천 원으로 7만1천원 상승했다.

통계청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구분한 월평균 임금 격차는 배 가까이 차이가 나지만 이를 단순 비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성별, 연령, 혼인상태, 교육수준, 근속기간, 직업, 산업 등을 동일하게 제한한 후,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간 월평균 임금격차를 비교할 경우 그 차이는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조건을 동일하게 제한해 임금을 비교하면 정규직과 비정규의 임금차이는 9.4%라는 것이다. 이는 정규직 임금이 100일 때 비정규직은 90.6이라는 의미다.

비정규직에는 시간제근로자도 포함돼 있는데 이를 제외한 전일제 근로자 중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는 6.6%로 더욱 줄어든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일자리 형태를 보면 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을 선택한 비율은 50.1%로 시간제·비전형 근로자 등이 모두 하락하면서 1년 전보다 3.0%p 떨어졌다. 비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을 선택한 이유는 ‘당장 수입 필요’가 76.5%로 가장 높았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일자리 선택의 자발성이 추세적으로 증가해왔고 특히 지난해 추세를 넘어설 정도로 컸다”며 “올해는 일자리 정책이 계속 이어지지 못한 측면에 기저효과 영향도 있어 자발성이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