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어린이집 관계자와 부모들이 보육료 현실화 및 누리과정 보육료 인상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인천시어린이집연합회와 어린이집운영위원회(부모대표)는 15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상적인 보육과 교육이 가능한 수준까지 보육료 현실화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 책임보육 강화를 부르짖지만, 이는 보육료 현실화 없이는 될 수 없음을 자각해야 한다”며 “보육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제대로 된 보육정책 및 예산을 집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내년도 보건복지부의 보육료 예산은 올해 대비 1.8% 인상에 그친 상태다. 현재 보육료 시행내역은 교직원 인건비, 급식비 1회, 간식비 2회, 교재·교구비, 관리운영비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인건비와 급·간식비는 전체 보육료의 약 70% 이상을 차지한다. 결국, 보육료 인상이 낮으면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 급·간식의 질과 보육교사의 처우도 나빠질 수밖에 없다.
연합회와 운영위원회는 영유아 보육의 질 및 보육교사의 처우 개선을 위해 보육료 인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견해이다. 이들이 원하는 보육료 인상률은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인 16.4%이다.
또 이들은 5년째 동결된 누리과정 보육료를 22만 원에서 30만 원으로 인상해 달라고 요구하는 동시에 보육교사 처우개선을 위한 근무환경개선비(교사겸직지원비 포함)를 30만 원까지 인상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여한 부모들은 “영유아는 우수한 교사로부터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다”며 “우리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150만의 영유아와 부모, 32만 보육교사의 권익을 위해 끊임없이 주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이상혁 연합회 회장은 “보육료 현실화 주장은 보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며 “매년 현실성 없는 보육료 예산으로 자괴감이 안 들도록 하기 위함이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영유아를 대신해 아이들이 평등하게 대접받고 행복한 세상을 꿈꿀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