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양주·양평은 ‘0’… 지진 실질적 대응 불가능
道가 구호소 일방 지정… 시설 관계자들도 몰라
경기도가 지난해 9월 경주지진 이후 지진 대비차원에서 ‘실내 구호소’ 지정작업을 추진했지만 1년이 지난 현재까지 양주시와 안성시 등 3개 지자체에는 단 한 곳의 실내 구호소도 지정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120만 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는 수원시에는 영통구에만 3곳을 지정해 놓은 반면 44만 명이 거주하는 파주시에는 44곳의 실내 구호소가 지정돼 ‘탁상행정’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9월12일 발생한 경주지진 이후 지진에 대비해 실내구호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시ㆍ군별로 ‘지진 실내 구호소’ 지정작업에 착수했다.
지진 실내 구호소는 이번 포항 지진처럼 추운 날씨에 지진이 발생하거나 지진 피해가 장기화할 경우 이재민 등을 대상으로 집단구호를 실시하기 위한 시설물로, 기본적으로 내진설계가 적용된 시설물이어야 한다.
도가 지진 실내 구호소 지정 작업에 착수한 지 1년이 넘은 현재 도내에는 총 366개의 지진 실내구호소가 지정된 상태다.
지진 실내 구호소가 가장 많이 지정된 곳은 고양시로 총 56곳이 지정됐으며 파주시 44곳, 성남시 40곳, 부천시 28곳 순이다. 그러나 안성시와 양주시, 양평군은 아직 단 한 곳도 지진 실내 구호소로 지정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시민들이 대피할 실내 구호소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또 65만여 명의 시민이 거주하고 있는 화성시(남양초)와 45만여 명의 시민이 살고 있는 의정부시(경민대 기념관)는 지진 실내 구호소가 단 1곳씩만 지정됐다. 광명시(하안종합사회복지관, 광명종합사회복지관)와 의왕시(덕장초, 모락초)도 단 2곳에 불과하며 수원시와 시흥시, 여주시와 연천군 역시 지진 실내 구호소는 3곳만 지정돼 실제 지진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실질적인 대응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더욱이 122만여 명이 거주하고 있는 수원시는 3곳의 지진 실내 구호소가 광교초등학교, 잠원초등학교, 태장초등학교 등 영통구에만 몰려 있어 타지역 수원시민들은 지진 발생 시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가 지진 실내 구호소를 일방적으로 지정, 정작 시설 관계자들은 자신들의 시설이 지진 실내 구호소로 지정된 지 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에 위치한 A 지진 실내 구호소 관계자는 “우리가 실내 구호소로 어떻게 지정됐는지 모르겠다”며 “정확히 확인 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내진 설계된 건물인지를 확인한 후 다수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지도 직접 현장에 가서 확인해야 해 아직 많은 지역에 지진 실내 구호소를 지정하지 못했다”며 “최근 지진이 또다시 발생한 만큼 시ㆍ군과 협력해 서둘러 지정하는 것은 물론 도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활동에도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호준ㆍ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