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해양도시 인천, 지진해일 대책 세워야 한다

포항의 지진(진도 5.4) 피해가 처참하다. 정부가 지진 발생 5일 만인 지난 20일 포항시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피해 복구가 본격화되고 있다. 하지만 지진 발생 8일째인 22일까지 강한 여진이 60회나 발생, 불안감이 여전하다. 특히 해양도시 인천 시민들의 마음이 편할 리 없다. 우리는 이웃 나라에서 강진이 발생할 때마다 대책을 논의하다가도 그때뿐 흐지부지되기 일쑤였다. 심지어 논의 자체를 무시하려는 타성마저 없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해 경주에 이은 올 포항 지진 이후 경각심이 다소 높아졌지만 아직 대책은 어설프기만 하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일반적으로 지진 안전지대로 분류됐었다. 한반도는 환태평양 지진대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있어 지각 변동이 없는 한 일본과 같은 큰 지진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게 일반적인 진단이었다. 그러나 한반도 역시 환태평양 범지진대에 속해 있어 전문가들은 한반도도 결코 지진 안전대는 아니라고 경고하고 있다. 그래서 경주·포항 지진이 심상찮다.

특히 백령도 일대를 중심으로 최근 6년간 2.0 이상 규모의 지진이 45회 발생하는 등 크고 작은 지진이 인천해안에서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만 해도 지난 2월23일 백령도 해역에서 진도 3.1을 시작으로 3월28일 연평도 해역(2.2), 7월18일 강화도 해역(2.7), 9월7일 연평도 서남쪽 해역(2.9) 등에서 5차례의 지진이 발생했다.

게다가 인천은 해안가를 중심으로 인천화력발전소 등 국가 주요 시설과 송도의 LNG 생산기지·SK인천석유화확 등 정유시설 및 가스 등 위험물 취급 대형 사업장이 즐비해 지진해일에 매우 취약하다. 그럼에도 인천시 등 관계기관은 지진해일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안해일 높이 등을 예측, 위험구역에 대한 대책을 세운 적이 한 번도 없다.

이뿐만이 아니다. 공공시설물 970곳 중 내진 성능이 확보된 곳은 504곳(51.9%)에 불과하다. 학교 건물도 내진대상 1천380곳의 31.8%(440곳)만 내진 성능을 갖추고 있다. 중·동·남·서구와 부평구 등 원도심 지역에 많은 단독주택은 내진대상 건물(4만5천433곳)의 9.37%(4천257곳)만 지진에 안전하다. 아파트는 3만2천495곳 중 내진 확보 건축물은 32.6%(1만477곳)에 머물고 있다. 또 1980년대 이전에 매립된 월미도 일대 연안 지반은 액상화 검토가 적용되지 않아 매우 취약하다.

이처럼 인천지역의 각종 건축물의 지진 안전도는 거의 무방비 상태다. 이제부터라도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각종 건축물의 내진 대책을 주도면밀하게 세워나가야 한다. 특히 지진 등 자연조화란 인지능력이 따를 수 없을 만큼 변화무쌍하다. 그 조화가 언제 어떤 방향으로 바뀔지 사람은 예측하지 못한다. 때문에 지난 경험적 기록을 참고하고 자연변화의 불가예측성을 염두에 둔 대비책은 꼭 필요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