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대기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대기오염측정소의 92%가 도로변이 아닌 주택가에 집중 설치돼 초미세먼지 등 오염요인에 대한 실질적인 측정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도의회 진용복 의원(더불어민주당ㆍ비례)은 23일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지역 대다수 대기오염측정소가 주택가, 공공건물 옥상 등 주거지역에 집중적으로 설치되고 있다”며 “주거지역보다는 도로주변에서 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요인이 많이 더 발생하는 만큼 실질적인 측정을 위해 도로변 측정소를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진 의원은 이어 “지난해 행감에서도 이 같은 내용을 지적했었는데 올해 신규로 설치되는 대기오염측정소 11개소 모두 주택가에 설치될 예정이라고 알고 있다”면서 “주택가 또는 숲이 많은 한적한 곳에서 대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것은 제대로 된 오염도 측정이라고 할 수 없어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진 의원이 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경기지역 대기오염 측정소 운영 현황’에 따르면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등을 측정하기 위해 도내 31개 시ㆍ군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대기오염측정소는 지난해 기준 총 80개소로 이중 73개가 주민센터ㆍ공공건물 옥상 등에 설치됐다. 특히 올해 추가로 설치되는 측정소 11개소의 경우 모두 공공건물 옥상 등 주거지에 설치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연구원 관계자는 “환경부 설치지침에 부합하는 측정소 설치장소를 찾기가 어려워 상대적으로 설치 허가 등이 쉬운 주택가 옥상 등에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확한 미세먼지 측정은 물론 설치기준에도 부합하는 장소를 찾아 도로변 측정소 설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진 의원은 이날 연구원 내 수질오염 및 대기오염 계측관련 장비의 노후화를 지적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진 의원에 따르면 연구원 대기연구부의 대기오염 계측장비 77개 중 19개가 내구연한을 넘겼으며 물환경연구부의 수질오염 계측장비 48개 중 12개가 내구연한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