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고·자사고 폐지와 고교 무학년 학점제 등을 주장한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의 교육정책이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날개를 다는 모양새다. 정부의 중장기 교육정책 상당수가 이재정 교육감이 주창한 정책이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 교육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국가교육회의’에 대한 앞으로의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8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27일 고등학교에서 학생이 진로와 적성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배우고, 기준학점을 채우면 졸업을 인정받는 ‘고교학점제’를 오는 2022년 전면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또 교육부는 지난 9일 경기도교육청이 먼저 확대·시행한 자유학년제를 내년부터 희망하는 학교에서 전면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앞서 교육부는 지난 8월 외고·국제고·자사고와 일반고가 동시에 입시를 실시하도록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해 이르면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뿐만 아니라 일부과목 절대평가, 전과목 절대평가 등의 내용을 담은 수능 개편안을 1년 유예하기로 결정하기도 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이 같은 정부의 교육정책이 발표될 때마다 ‘환영의 뜻’을 밝히고 있다. 이들 교육정책 상당수가 사실 이 교육감이 지난 2014년 7월 취임 이후 역설해왔던 교육현안이기 때문이다.
또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마련한 ‘416 교육체제’를 국가교육회의에 교육개혁 의제로 제안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 교육감의 교육철학이 현 정부에서 국가 차원의 교육정책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재정 교육감이 취임 후 강조한 교육정책 상당수가 새 정부가 들어선 뒤 구체적인 로드맵 등으로 제시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라 그동안 계층화, 서열화된 교육에서 탈피해 학생들이 자신들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 협의가 끊임없이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규태·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