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9일 새벽에 이뤄진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도발을 한목소리로 강력 규탄했다.
특히 보수야당은 문재인 정부 책임론을 제기하고 대북정책의 대전환과 강력한 제재를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의 기대와 노력을 저버리는 무책임하고 무모한 행위를 강력 규탄한다”면서 “정부는 튼튼한 한미공조 속에 북한의 추가 도발로 더욱 예민해진 한반도 정세 관리에 만전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백혜련 대변인(수원을)은 논평을 내고 “국제사회의 평화를 위협하는 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며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어떠한 행동도 용납될 수 없으며, 북한이 대화 대신 도발을 지속한다면 북한은 전례 없는 강력한 제재를 마주해야 할 것이다”고 경고했다.
자유한국당 전희경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북한 핵 미사일의 완성이 목전에 다다른 안보 현실에서도 여전히 혼선만 거듭되고 있는 정부와 집권여당의 모습은 안보 무능을 넘어서 안보 불능 상태이다”라고 비판했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당대표 및 최고위원·3선 의원 연석회의에서 “이 정부는 말로만 북핵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 하지 말고 진정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한 실질적 대비태세를 갖추기를 바란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는 북한군의 추가도발 가능성에 대해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기 바라며 국제공조를 통해 강력한 조치를 취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행자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더욱 강력한 대북제재로 북한이 대화 테이블로 나올 수밖에 없도록 하는 정부의 유능한 외교, 안보 대응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는 국회의원·원외위원장 연석회의에서 “북한의 핵미사일은 완성·실전배치에 이르고 있는데, 우리 정부와 미국 당사자들의 대응이 너무 안이한 게 아닌가 정말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며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은 이제까지 해보지 않았던 강력한 제재와 압박을 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재민·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