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가 추진 중인 심부지열에너지 실증사업에 대한 시민 불안을 해소하고, 체계적인 공보육 기반 확립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됐다.
화성시의회는 30일 본회의장에서 제168회 제2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열고 시정질문을 가졌다. 이날 오문섭 의원(바른정당)은 “최근 포항 지진과 관련해 포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열발전소 공사로 지진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며 “정부차원의 실태조사가 끝날 때까지 공사를 잠정 중단한 만큼, 화성시도 심부지열에너지 실증사업을 중단하고 조사 결과에 따라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심부지열 사업이 친환경이라고는 하나 위험부담 대비 창출되는 사업성이 미비해 원점에서부터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타당성용역과 사례 비교분석, 예산 절감과 활용방안이 제대로 수립됐나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채인석 시장은 “포항 지진 여파로 화성시 심부지열에너지 실증사업에 대한 시민 불안이 증가하고 있으나 시는 포항 지열발전소와 다른 공법을 활용한다”면서 “포항 지열발전소의 경우 시추공 2공을 시추해 수리자극에 따른 유도지진을 유발할 수 있지만, 시는 단일공 동축 시추 방식으로 수리자극이 불필요해 큰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진 계측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질 자원 전문기관에 의뢰해 전기전도 탐사 등 시추공 지질특성탐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채 시장은 “시는 현재 38개 국공립 어린이집을 운영 중이며 보육수요 증가에 맞춰 2020년까지 60개소 이상으로 확충할 계획”이라며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적으로 많은 예산을 수반하는 사업으로 농어촌 등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민간 어린이집의 국공립 전환을 검토해 체계적인 공보육 기반을 확립하겠다”고 밝혔다.
화성=박수철ㆍ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