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급진적 금리 인상, 정상적인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어렵게 만들어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p 인상하면 국내 기업들의 자금조달비용이 2배 가량 늘어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금융연구원은 2일 ‘통화정책의 신용분배 효과와 우리나라 기업의 부채구조’ 보고서에서 한은이 기준금리를 100bp(1bp=0.01%p) 인상하면 우리나라 기업의 외부자금조달 프리미엄은 전 분기보다 2배 정도 증가한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2005년 1분기부터 2017년 1분기까지 국내 유가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개별기업의 분기별 자료를 이용해 기준금리 인상 영향을 파악했다.
외부자금조달 프리미엄은 기업이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지불하는 비용을 지칭하는 것으로 기준금리가 올라 외부자금조달 프리미엄이 증가하면 기업이 회사채 발행이나 은행 차입 등의 방식으로 외부자금을 조달할 때 지불하는 비용이 예전보다 증가한다는 것이다.
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한은의 기준금리가 똑같이 100bp 오르면 국내 기업들의 장기차입금은 전 분기보다 0.45∼0.75% 줄어들게 된다.
한은의 기준금리 변경은 국내 기업의 외부자금조달 프리미엄에 영향을 주고 그로 인해 기업의 부채규모 자체도 변화시킨다는 분석이다.
기업의 재무상태를 기준으로 부실기업과 우량기업으로 나눠보면 기준금리 인상 때 부실기업의 외부자금조달 프리미엄은 증가하고 우량기업은 감소했다. 또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은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에도 차별화됐다. 기준금리 인상 시 중소기업의 외부자금조달 프리미엄이 대기업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상이 부실기업 퇴출이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급진적 금리 인상은 정상적인 중소기업의 자금조달을 어렵게 해 금융안정을 오히려 훼손하는 결과를 불러올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