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엔 소득 늘고, 경제성장·일자리 창출 됐으면…” 경기硏, 2018년 도민 희망 보고서

경기도민의 새해 소망 1위는 개인적으로는 ‘소득증대’, 사회적으로는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경기도민의 2018년도 새해소망 및 관심 정책 등을 담은 ‘2018년 경기도민의 희망과 10대 어젠다’ 보고서를 2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도민 1천 명이 참여한 사회인식조사에서 새해 개인적 소망으로는 ‘소득증대’가 27.7%로 1위에 올랐다. 이는 최저임금 상승 및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행복한 삶의 중요한 조건으로서 소득증대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개인 및 가족 건강증진’이 23.7%이 2위를 차지했으며, ‘마음의 평온(20.0%)’, ‘복권 당첨(16.6%)’ 등의 순이었다.

 

사회적 소망으로는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26.6%)’이 가장 많이 꼽혔다. ‘물가안정(25.3%)’, ‘정치안정 및 부정부패 척결(22.7%)’, ‘주택가격 및 전월세 안정화(21.5%)’ 등을 꼽은 이들도 상당수로 조사됐다.

 

도민들은 이 같은 소망을 이루기 위해 올해 경기도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10대 정책으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소상공인·자영업자 역량 강화 ▲4차 산업혁명 거점육성 ▲실직과 은퇴에 대비한 일자리 안전망 강화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 문제 해결 ▲미세먼지 관리 강화 ▲재난안전대응 역할 강화 ▲서울·경기 간 교통혼잡 및 통근불편 해소 ▲북핵 위기 중장기 해법 제시를 선정했다.

 

이정훈 경기연구원 연구기획본부장은 “도민들은 경제적 약자에 대한 정책적배려와 혁신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동시에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도는 경제문제와 함께 미세먼지, 출퇴근 등 도민들의 실생활에 필요한 요소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경기도 정책 중 도민에게 인지도가 높은 정책은 ‘2층 광역버스 운행(33.1%)’,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건설(28.7%)’ 등 교통 정책이었으며, ‘일자리 창출(19.1%)’, ‘일하는 청년 정책 시리즈(16.5%)’ 등으로 일자리 관련 정책 또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선호도가 가장 높은 정책은 ‘일자리 창출(40.8%)’이었으며, 다음으로 ‘수도권 급행철도(GTX) 건설(26.0%)’, ‘일하는 청년 정책 시리즈(25.1%)’, ‘미세먼지 저감 대책 알프스 프로젝트(18.5%)’순 이었다.

한진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