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硏, 경제 파급효과 분석… 실업률도 증가 예상
올해 정부가 책정한 SOC(사회간접자본) 예산이 전년보다 대폭 감소하면서 경기지역 일자리가 8천500개나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도내 실업률과 청년 실업률은 각각 0.13%, 0.038% 증가가 예상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인프라 투자의 지역 경제 파급효과 분석’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정부가 책정한 SOC 예산은 19조 원으로 지난해보다 14%, 약 3조 1천억 원이 감소했다. SOC예산 감소에 따라 경기지역에서만 8천500여 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도의 일자리 감소는 전국(감소 추정치 4만3천여 개) 시도 중 가장 높은 비중이다.
경기도에 이어 서울은 7천800여 개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이들 중 약 70%는 건설 일용직으로 주로 사회적 취약계층이 실업에 직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분석됐다. 건설기술자도 경기 2천500여 명, 서울 2천300여 명 각각 감소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실업률은 전국 평균 0.18%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실업률 상승폭을 지역별로 보면 전남 0.30%포인트, 강원 0.28%포인트, 경북 0.23%포인트 순이다. 경기도는 0.13%포인트 상승이 예상됐다.
또 청년 실업률은 전국 평균 0.05%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분석된 가운데 경기지역은 0.038%로 다소 미미한 수준이다.
나경연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SOC 예산이 축소될 수록 일자리 수가 감소하고, 지역 간 소득격차가 확대되는 등 지역 경제의 ‘성장’과 ‘분배’ 측면 모두에서 부정적 파급 효과가 크다”며 “정책당국이 성장뿐 아니라 ‘분배’의 관점에서 지역 간 소득 격차 확대 문제에 대한 선제적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