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 재정분석 전략 용역
2030년까지 미뤄도 자생적 운영 가능
경제청內 매립 등 담당부서 축소 불가피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개발계획시기 연장을 위한 재원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개발계획 연장에 따른 현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조직 축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9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IFEZ 개발계획 종료시점을 오는 2020년(송도·청라), 2022년(영종)으로 각각 규정한 제1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이 올 상반기 수정될 예정이다. 경제청은 송도 11공구 및 영종 중산지구 개발사업 미흡을 이유로 들어 개발계획이 연장돼야 한다는 입장을 산자부에 전달하는 등 연장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제청이 최근 마무리한 ‘IFEZ 재정분석을 통한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용역 결과 오는 2030년까지 개발계획 시기를 연장해도 자생적 운영이 가능한 재원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역 결과에 따르면 2030년까지 총 지출 11조1천499억원, 총 수입 10조8천100억원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약 1조원 가량의 현물자산을 포함하고, 한상드림아일랜드 사업부지 인근 신규 매립토지 발생, 강화 남단 및 인천서부산단 경제자유구역 신규지정 등 추가 개발계획이 구체화되면 수입액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IFEZ 개발완료 시점이 다가옴에 따라 현 인천경제청 조직 축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개발사업 완료에 따라 매립 및 기반시설, 공사·개발, 기반시설 관리 등 일부 부서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이다.
경제청은 용역에 따라 IFEZ 모든 사무의 자치구(중·서·연수구) 이관 후 경제청 폐지, 투자유치·입주기업 지원 등 특수조직 중심으로 축소개편, 경제특별자치구로 독립적 행정조직 개편 등 3가지 안을 마련했다.
경제청 내부적으로는 독립 행정조직 개편안을 이상적으로 생각하지만 행정절차의 복잡성과 지자체 동의를 얻기가 어려워 차선책으로 기획지원·스마트시티·투자유치 중심의 축소 개편안이 유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경제청의 한 관계자는 “영종 중산지구 개발, 송도 11공구 사업 등은 기존 완료시기 내에 추진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해 계획시기 연장이 필요하다는 점을 산업부에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며 “올 상반기 내에 기본계획 수정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