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이산가족상봉 신청했지만 가족 못찾은 이영표 옹
남북고위급회담에 희망 생겨… “미안하다는 말 전하고파”
수원 권선구 고색동에 사는 이영표옹(81)은 남북고위급회담 관련 뉴스를 보고 가슴 한구석이 먹먹해지는 것을 느꼈다. 어쩌면 마지막 기회가 될지도 모를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실낱같은 희망이 생겨서다. 2년 만에 성사된 남북고위급회담에 거는 이 옹의 바람은 간절할 수밖에 없다. 이 옹은 “앞으로 살 날이 얼마나 더 남았을지 모르겠지만 죽기 전에 10살 터울 여동생을 꼭 만나고 싶다”면서 “마지막 기회인 만큼 이번만큼은 제발 꼭 이산가족상봉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울먹였다.
북녘의 황해도 서흥군이 고향인 이 옹은 한국전쟁이 반년째 지속되던 1950년 12월 어느날 열살짜리 여동생은 물론 가족들과 생이별을 해야 했다. 당시 중공군이 내려온다는 소식에 동네가 아수라장이 됐지만, 이 옹과 부모님, 그리고 동생 2명은 집을 두고 떠날 수 없다는 할아버지와 할머니, 그리고 셋째 여동생을 두고 피난길에 올랐다. 당시 이 옹은 “난리가 금방 끝날 테니 이틀만 피신해 있어라”는 할아버지의 말씀을 철썩같이 믿었지만, 결국 그 피난길이 이 옹과 여동생을 68년간 갈라놓았다.
하루종일 이어지는 총성과 폭탄 소리 속에서 피난생활을 이어가던 이 옹은 집에 두고 온 여동생을 떠올리면서 ‘돌아가야 한다’고 수천 번 되뇌었지만, 무서운 기세의 중공군에 떠밀려 개성과 서울을 거쳐 대전까지 내려와 버렸다. 그리고 이 옹이 고향으로 돌아갈 틈도 없이 휴전 협정이 맺어졌고, 북녘 고향으로 갈 수 있는 길은 사라져 버렸다.
이후 이곳저곳을 떠돌던 이 옹은 수원 장안구 연무동의 난민촌에 자리를 잡고, 닥치는대로 일을 하기 시작했다. 살아있어야, 그리고 돈을 벌어야만 북녘에 두고 온 여동생을 만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이 옹은 “그때는 내가 살아있어도 살아있는 것이 아니었다”면서 “그저 살아야 여동생은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하루하루를 버텼다”고 회상했다.
가까스로 수원에 자리를 잡은 이 옹은 가정을 꾸리고, 자식들 뒷바라지를 하느라 정신없이 지내다 2003년에야 뒤늦게 이산가족상봉 신청을 했다. 하지만 이 옹에게까지 가족을 만날 기회는 찾아오지 않았고, 정권이 바뀌면서 남북관계가 악화된 탓에 이 옹의 희망은 점점 희미해져만 갔다.
그러던 9일, 2년 만에 열린 남북고위급회담을 지켜보는 이 옹의 마음은 애절하기만 하다. 이 옹은 “생사도 모르는 여동생이지만, 꼭 한 번 만나서 해야 할 말이 있다”면서 “그때 함께 데려가지 못해 미안하다고, 정말 미안하다고, 그 말을 꼭 전하고 싶다”며 눈물을 훔쳤다.
대한적십자사에 따르면 1988년부터 지난해 12월31일까지 이산가족상봉 신청자는 총 13만 1천344명으로, 경기도에만 1만 7천524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