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 경찰 거듭…" 경찰 지휘부, 남영동 대공분실서 ‘박종철 열사’ 추모

김기출 경기북부지방경찰청장, 모란공원서 박 열사 추모

경찰 지휘부, 남영동 대공분실 찾아 ‘박종철 열사’ 추모

▲ 경찰 지휘부 남영동 대공분실 찾아 ‘박종철 열사’ 추모, 연합뉴스
▲ 경찰 지휘부 남영동 대공분실 찾아 ‘박종철 열사’ 추모, 연합뉴스
이철성 경찰청장이 고 박종철 열사 31주기를 하루 앞둔 13일 서울 용산구에 있는 옛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현 경찰청 인권센터) 509호 조사실을 찾아 고인 영정 앞에 고개를 숙였다.

509호 조사실은 1987년 1월 서울대생이던 박 열사가 경찰 조사를 받다 고문 끝에 숨진 곳이다. 당시 경찰은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허위 조사 결과를 발표해 사인을 단순 쇼크사로 위장하려 해 공분을 샀다.

이 청장은 지난해 6월항쟁 30주년 기념일 전날인 6월9일 비공식으로 이곳을 찾은데 이어 오늘 경찰 지휘부와 함께 이곳을 공식 방문해 박 열사를 추모했다.

경찰 지휘부가 단체로 옛 남영동 대공분실을 공식 방문해 박 열사를 추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6월항쟁 30주년 기념일 전날인 6월9일 이 청장이 비공식으로 이곳을 찾아 추모한 적은 있다.

이 청장 등 지휘부는 박 열사가 숨진 509호 조사실에서 헌화와 묵념으로 고인을 추모한 뒤 1985년 고 김근태 전 민주통합당 고문이 끌려와 고문당한 515호 조사실에 들러 경찰 관계자로부터 설명을 들었다.

지휘부는 이어 센터 4층에 있는 박종철 추모전시실을 찾아 박 열사와 민주화운동 관련 자료도 살펴봤다.

이 청장은 “최근 영화 ‘1987’을 통해 많은 국민께서 30년 전의 아픈 역사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고 있다”며 “과거 경찰의 잘못을 성찰하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인권경찰로 거듭나고자 내일 추도식에 앞서 방문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 청장은 “이런 추도식 때뿐 아니라 평상시에 경찰관들이 공권력 행사 등에 대해 새로운 인권 가치를 끌어내도록 지휘부부터 마음에 담겠다”라고 강조했다.

김기출 경기북부지방경찰청장도 이날 남양주시 모란공원을 찾아 박종철 열사를 추모했다.

김 청장은 이 자리에서 “고인의 명복을 빌며 아픈 과거를 반성하고 인권 경찰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취임한 김 청장은 그동안 인권 경찰을 주문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일 박 열사의 사망 당시 시대 상황을 그린 영화 ‘1987’을 직원들과 단체 관람하기도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