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하는 인천] 새로 태어나는 경인고속도로

▲
인천항 기점에서 경인고속도로를 진입하여 속도를 높이기 시작하면 갑자기 60㎞ 제한속도의 감시카메라가 등장한다. 그동안 많은 준비 끝에 일반화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첫 모습이다. 경인고속도로의 일반화사업에 대해 자세히 모르는 시민이면 몹시 당황해 할 것이다.

 

1968년 12월12일 개통된 경인고속도로는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도로로 인천항과 서울을 잇는 산업화의 대동맥으로 그 역사적 의미는 다양한 측면에서 매우 높다. 건설 당시 인천의 외곽에 있었으나 현재는 도시의 한가운데를 가로지르면서 인천을 동서남북으로 단절하였고 도로교통 소음과 비산먼지 등으로 환경적 피해는 물론 주변 지역의 심각한 슬럼화를 가속화 시켜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인천시와 국토교통부는 수차례의 협의를 통해 일부 구간의 인천시 이관을 추진하였다. 마침내 2015년 인천항 기점부터 서인천나들목까지의 시설물을 인천시에 이관하기로 합의하였고 2017년 12월1일부로 이관철차를 마무리하여 말 그대로 일반화사업이 시작되었다. 전 구간에 걸쳐 동시에 전면적인 일반화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여 방음벽을 철거하고 교차로를 신설하는 작업을 시작하고 있다.

 

일반화 사업의 추진 목적은 주변지역의 도시 활성화를 지원함으로써 주민의 정주여건 개선과 지역발전을 도모하여 그간 고속도로로 인해 고통받은 시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여 조금이나마 보상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인천시민은 각자의 입장에서 많은 기대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려도 크게 하고 있다.

 

주변지역의 주민들은 당장 도시재생 또는 도시개발을 통한 개발이익의 극대화를 기대하면서 규제완화를 주장하기도 한다. 반대로 일반화함으로써 일부 지역에서는 접근성이 현저히 저하하여 도심의 기능이 더욱더 악화될 것을 걱정하고 졸속적인 추진을 반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다가오는 6월13일 지방선거에서는 이 이슈가 중요하게 부각될 여지가 매우 높다. 인천지역의 대규모 도시재생사업으로 그 이해관계가 매우 민감한 지역 이슈이기 때문이다. 자칫 정치적 이슈로 단편적인 표만 고려하고 정파적인 이해를 추구하는 정쟁의 대상으로 전락할 개연성이 매우 높아 걱정이 앞서는 상황이다.

 

가장 큰 걱정은 기존의 교통 수요량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인데 세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면밀한 대책이 현실적으로 강구되어야 한다. 특히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화물 교통량의 우회처리 방안은 무척 우려되는 과제인데 아직 속수무책인 실정이다.

 

현재 민자를 유치하여 추진하는 지하대심도로건설은 과연 만병통치약이 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강하게 제기된다. 엄청난 자금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건설기간도 오래 걸리고 그 기간 동안의 교통처리는 대란을 예고하고 있다.

 

일반화의 추진 목적이 일거에 무력화되고 그 피해가 전부 시민에게 되돌아가는 그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기를 그저 하늘만 바라봐야 하는 상황이라서 더욱더 안타깝다. 기본구상이 마무리되고 실시설계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구체적인 내용이 오리무중인 상황은 미리 앞서 걱정하는 과민한 염려가 아니기를 바랄 뿐이다.

 

서종국 인천대 도시행정학과 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