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작년 서울 아파트값 4.7%↑…경기ㆍ인천은 1.7%에 그쳐

제목 없음-1 사본.jpg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크게 상승한 반면 경기ㆍ인천은 1.7%에 그쳤다.

 

20일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아파트 값은 8ㆍ2 대책 후 안정세를 보였지만 지역별로 차별화가 심화됐다.

 

서울은 4.7% 올랐지만 경기ㆍ인천은 1.7%에 그쳤다. 비수권은 오히려 0.4% 하락했다.

서울은 강남4구와 광진구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상승폭이 크게 확대됐다. 9월에는 전월 대비 상승률이 0%였지만 10월 0.3%, 11월 0.4%, 12월 0.8%로 뛰었다. 경기ㆍ인천은 12월에는 보합으로 전환됐다. 비수도권은 10월 이후 계속 0.1%씩 하락했다.

 

아파트 전세가격은 약세였다. 작년 12월에는 0.1% 하락하면서 2012년 8월 이후 처음으로 떨어졌다.

 

한은은 올해 주택매매가격 오름세가 작년보다 둔화되겠지만 내년엔 소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는 입주물량 증가와 부동산 및 대출 규제,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 등이 가격 안정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당장 1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와 신DTI(총부채상환비율), 중도금 대출 보증한도 하향 조정 및 보증비율 축소가 4월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가 예정돼있다. 다만 내년엔 입주물량이 감소하며 오름세가 소폭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파트 입주물량은 올해 43만9천 가구에서 내년 34만7천 가구, 2020년 18만4천 가구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주택 전세가격은 올해 오름세가 소폭 둔화되고 내년에도 상승세는 유지하겠으나 오름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는 입주물량이 크게 늘고 월세가격이 계속 하락하면서 전세 공급이 늘어난다.

 

전세거래 비중이 3분기 말에 59%를 넘어섰다. 1분기 55%에서 상승했다.

반면 집값 상승 기대가 약해지고 대출 규제 등으로 전세 수요가 늘어나며 수급 균형이 이뤄질 것으로 봤다.

 

내년에도 입주가 대규모로 이뤄지고 공공임대주택 공급이 확대되면서 전세가격은 크게 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주택가격이 안정돼서 주거비 부담이 완화되면 가계 소비여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