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안전진단 실명제…점검자 공개할 수도”

문재인 대통령은 30일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 정부가 하는 모든 일의 시작이고 최우선 역할”이라며 “철저한 안전진단을 위해 점검자를 공개하는 ‘안전진단’ 실명제를 도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중앙 부처 장·차관급 워크숍 모두발언을 통해 “2월 시작하는 국가안전대진단부터 과거의 방식을 답습하지 말고, 국민의 안전을 책임진다는 자세로 철저히 시행해 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안전진단 결과를 공개해 국민에게 실태를 알리고, 다중 이용 시설을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복지부동·무사안일·탁상행정 등 공직자들에게 부정적 수식어가 안 따라붙게 하려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정부부터 변화하고 혁신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혁신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 부처의 업무 수행 방식도 달라져야 한다”며 “특히 부처 간 입장이 다르고, 국민 간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정책은 충분한 설득과 공감의 과정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을 각별히 명심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공공기관 채용 비리는 정의와 원칙을 선도해야 할 공공기관이 오히려 우리 사회의 공정성을 무너뜨렸다는 점에서 국민에게 큰 실망감을 주고 특히 우리 소중한 청년들에게 깊은 절망과 좌절을 안겨주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이번 전수조사를 우리 사회에서 채용 비리를 비롯한 반칙을 근절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며 “각 부처 장관들은 적어도 채용비리만큼은 완전히 뿌리 뽑겠다는 비상한 각오를 갖고 후속 조치와 함께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제도의 정착을 위해 노력해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진심을 다해 국민과 소통해야 할 것이다. 지금은 정부가 국민과 직접 소통하는 시대”라며 “정부가 국민의 목소리에 충분히 귀 기울이고 정부 입장을 제대로 전달해야만 정부와 국민 간의 진정한 소통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은 어느 부처가 잘한다, 못한다고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잘한다 못한다고 평가한다”며 “모두가 한팀이라는 마음가짐으로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부처 간에 충분히 소통하고 협의하면서 일을 추진하는 자세를 가져달라”고 강조했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