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펜스·中 한정 접견… 文 대통령 숨가쁜 ‘평창외교’

韓·美 ‘한반도 평화’ 공조 확인… 中에 사드보복 철회 촉구
오늘 北 김여정과 오찬… 김정은 친서·메시지 있을지 주목

▲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오후 청와대에서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오후 청와대에서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을 앞둔 8일 독일·스위스·폴란드 등 주요국 정상들과 회담을 하고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한정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접견하는 등 ‘평창 평화올림픽 외교’ 행보에 적극 나섰다.

 

특히 문 대통령이 북한의 최고 통치자인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으로부터 김 위원장의 친서를 전달받을지 접견에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미국 대표단을 이끌고 방한하는 펜스 부통령을 접견하고 만찬을 함께 했다.

 

문 대통령은 펜스 부통령에게 평창올림픽 성공 개최를 지원하는 데 대한 사의를 표하고 남북관계 개선과 북핵문제 해결,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한미간의 긴밀한 공조를 확인했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평창 동계올림픽 미국 고위급대표단 단장으로 방한 중인 마이크 펜스 부통령에게 “미국의 확고한 원칙과 긴밀한 한미공조가 북한을 남북대화와 평창올림픽 참가로 이끌어내는 데 크게 기여했다”며 “우리로서는 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해 북한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에 펜스 부통령은 “한국은 자유를 그 어떤 나라보다 잘 표상하는 나라로, 자유로운 한국민이 번영을 일궈내고 안보를 만들었다”며 “제가 오늘 이 자리에서 온 이유는 문 대통령이 말씀하신 이유와 동일하다. 한미 양국민 간 갖고 있는 강력하면서도 절대 깨뜨릴 수 없는 결속력을 다시 한번 다지기 위해 온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청와대에서 한정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접견하고 “두 나라는 같은 목표를 갖고 있으나,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며 “우리 기업들이 중국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을 빨리 거두어 달라고 촉구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한ㆍ중 관계가 경제통상 분야에 그치지 않고 정치·안보 영역으로까지 확대돼야 한다. 그래야 여러 갈등요인에도 두 나라 관계가 흔들리지 않고 발전할 수 있다”며 “양국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이라는 공통의 이해와 접점을 찾아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올림픽을 계기로 남북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 대화가 한반도의 평화적인 비핵화 문제로까지 이어져야 한다”며 “남북대화가 북미대화로 이어지도록 중국 정부가 더 많은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에 한 상무위원은 “한반도 정세의 열쇠는 미국과 북한이 쥐고 있다. 한ㆍ중 양국은 미국과 북한이 직접 대화를 추진하도록 같은 목표를 가지고 노력해야 한다”며 “중국 속담에 ‘삼척 두께의 얼음이 어는 것은 하루의 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말이 있다. 정세가 복잡한 만큼 인내심을 가지고 노력하자”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이날 알랭 베르세 스위스 대통령,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도 잇따라 정상회담을 갖고 남북 간 대화 분위기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마음을 모아줄 것을 호소했다.

 

또 문 대통령은 오는 10일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포함된 북한 고위급 대표단과 접견한 뒤 오찬을 함께할 예정이다.

 

아울러 문 대통령과 북한의 최고 통치자인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의 만남에 관심이 쏠린다.

 

김여정 제1부부장이 북한의 김 씨 일가를 뜻하는, 이른바 ‘백두혈통’의 일원으로는 처음으로 남쪽 땅을 밟는 데다 현재 최고권력의 실세 측근으로 꼽히는 만큼 친서 형태 등으로 김 위원장이 전하는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 상임위원장에 대한 의전은 다른 나라의 수반과 마찬가지로 정상급으로 하지만, 문 대통령과의 만남을 ‘정상회담’이나 ‘정상급 회담’이라고 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만남에 대한 명칭은 현재 논의 중이다. 지금까지는 통상적으로 접견이나 면담으로 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