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체증만 더 가중시키는 BRT 사업, 결사반대입니다”
12일 수원 파장동에서 만난 A씨(54ㆍ여)는 수원~구로 간 BRT 사업이 시행된다는 뉴스를 보고 속에서 천불이 났다. 그동안 A씨를 포함한 북수원 주민들은 BRT 사업에 대해서 확고하게 반대의지를 피력해 왔지만, 결국 주민들의 의견은 철저히 무시당한 채 사업이 결정 난 셈이기 때문이다.
A씨는 “BRT 사업을 하는 구간은 교통체증으로 고통을 겪을 게 분명하다”며 “BRT가 설치되는 구간 주변도 그 여파로 출ㆍ퇴근 시간에 주차장으로 변할 것”이라고 토로했다.
국토교통부가 수원 장안구청~구로 디지털단지역까지 BRT 노선을 확정, 설계에 들어갔다고 11일 밝히면서 북수원 지역주민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해당 사업은 그동안 북수원 주민들이 반대 목소리를 내고 집회까지 벌여(본보 2017년 11월27일 7면) 이번 국토부의 발표를 놓고 반발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날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부는 수원 장안구청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까지 BRT 노선을 오는 12월 착공해 2021년 개통을 목표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6㎞ 구간에 BRT(간선급행버스체계)가 들어설 예정이다. 하지만 북수원 지역 주민들은 이 사업이 지역 상권을 죽이는 것은 물론 심각한 교통난이 벌어진다고 주장했다.
더욱이 국토부 발표 이후 입주자 대표 등은 수원 시장과의 면담을 통해 입장을 전달하고 집회까지 준비할 것으로 알려져 강력 반발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주만근 북수원정책위원장은 “안 그래도 막히는 도로에 BRT 사업으로 차선이 줄게 되면 교통체증은 불 보듯 뻔하다”면서 “수원시장과의 면담에서 입주민들의 의견을 전달하고 다 같이 모여 한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은수 수원시의회 안전교통건설위원장도 “입주민들과 의견을 공유한 뒤 국토부와 수원시에 관련 내용을 전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수원 등지에서 여러 민원이 발생하는 것을 알고 있고, 이에 따른 대안을 강구 중이다”며 “BRT 사업 초기에는 혼란이 예상되지만 정착되면 오히려 소통이 원활해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