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이후’ 남북관계 복원 탄력… 남남갈등은 부담

北 올림픽 참가로 모처럼 화해 분위기 ‘김영철 방남’ 소모적 국론분열 불러
남북정상회담 위한 북미접촉도 주목

▲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강원도 평창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에서 남북한 선수들의 입장을 지켜보며 손을 들어 인사하자 미국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보좌관(아랫줄 오른쪽 두 번째)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뒷줄 오른쪽 끝)이 일어나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강원도 평창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에서 남북한 선수들의 입장을 지켜보며 손을 들어 인사하자 미국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보좌관(아랫줄 오른쪽 두 번째)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뒷줄 오른쪽 끝)이 일어나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평창동계올림픽이 25일 폐막한 가운데 향후 정치권에 한반도 평화 정착과 남남갈등(南南葛藤) 치유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남겼다는 지적이다.

 

북한 선수단 올림픽 참여로 모처럼 조성된 남북대화 무드를 한반도 정세전환으로 이어가기 위한 후속조치가 중요하게 대두하고 있다.

 

동시에 천안함 폭침 배후로 알려져 있는 김영철 북한 통일선전부장 방문으로 두쪽으로 갈라진 국론분열을 조기에 봉합해야 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 예견된 남남갈등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1월1일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밝히면서 한국은 남남갈등이 폭발했다. 1주일에 한번 꼴로 북한의 손짓에 몸살을 겪었다.

 

북한의 올림픽 참가로 평화올림픽을 치르는 성과를 얻는가 하면 남북관계 개선의 불씨도 당겼다. 그러나 소모적인 국론분열에다 미국·중국·일본·러시아 한반도 주변 4강과 밀고 당기기를 이어가는 막대한 부담을 떠안았다.

 

북한의 올림픽 참가 자체를 두고도 말이 많았지만, 한반도기 공동입장을 두고 남남갈등이 본격화됐다. 정부는 한반도 평화를 이룩한 성과라며 자평했지만 올림픽 개최국으로서의 위상과 수고를 북한에 넘긴 꼴이라는 비판을 면할 수는 없었다.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은 남북대화의 가시적 성과 도출에 급급한 정부가 스스로 남남갈등을 자초한 사례로 꼽힌다.

 

천안함 폭침을 주도한 인물로 알려진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부장의 방남은 남남갈등의 정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이같은 논란의 인물을 보내는 것은 당초 남북평화 분위기를 중시하는 여론과 천안함 폭침에 대한 분노 여론을 양분시켜 갈등을 극대화 시킨다는 계산이 깔렸다는 분석이다.

 

■ 남북관계 복원ㆍ한반도 정세 전환 최우선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평창 올림픽은 지구촌 스포츠 축제라는 의미를 뛰어넘어 남북관계 복원과 한반도 정세 전환의 큰 계기를 마련하는 ‘평화 올림픽’으로서 역할을 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개회식에서 남북 선수단이 하나가 되어 한반도기를 흔들며 들어선 공동입장과 남북한 선수가 성화봉을 이어 받아 마지막 성화 점화자인 김연아에게 건넨 장면이 전 세계에 전파를 타면서 ‘평화 메신저’ 역할을 톡톡히 했다.

 

북한이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당 제1부부장과 헌법상 수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고위급대표단으로 남쪽에 파견한 것은 이번 올림픽의 백미였다는 지적이다.

 

김정은 위원장은 특사로 보낸 김여정 제1부부장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을 평양으로 초청한다는 메시지를 보내 사실상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하기도 했다.

 

앞으로 과제는 남북화해 무드를 평창올림픽 이후로도 계속 이어가야 한다는 데 정치권이 방점을 찍어야 한다는 데 이견은 없다.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선결과제인 북미대화 성사를 위해 문재인 대통령과 정치권이 머리를 모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 정치권, 남남갈등 치유 과제 막중

정치권으로서는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표출된 남남갈등을 치유해야 하는 과제도 막중하다.

특히 ‘천안함’ 폭침 배후로 알려진 김영철 통전부장 방남으로 촉발된 보수야당 등의 반발이 거세기 때문이다.

 

25일 김영철 일행이 남측으로 들어온 가운데 김성태 원내대표와 ‘김영철 방한 저지 투쟁위원회’ 위원장인 김무성 의원 등 한국당 의원과 보좌진 등 약 20명은 전날 오후 6시 30분께부터 통일대교 남단에 도착, 밤샘 연좌 농성을 벌였다. 이 뿐만 아니라 천안함 유족 등의 반발도 거세다.

 

정부여당은 김영철 통전부장이 천안함 폭침 배후로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고 박근혜 정부 때도 군사회담 상대로 나왔던 점을 들어 야당에 ‘정치공세’라며 맞불을 놓고 있다.

 

정부여당이 ‘천안함 폭침배후’ 부담에도 불구하고 김영철 방남을 허락한 것은 북핵폐기를 위한 대화상대로 이 만한 인물이 없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보다는 ‘미래’를 위한 선택을 한 셈인데 김영철을 둘러싼 남남갈등이 격화될 경우 대북문제는 물론 한미통상 갈등으로도 이어질 수도 있는 만큼 정치권에서 하루속히 치유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