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이 막을 내림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이 ‘평창발 해빙 무드’를 어떻게 이어나갈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평창에서의 대화 분위기를 토대로 남북대화와 북미대화라는 두 개의 바퀴를 ‘선순환적으로’ 굴려나가는 것이 최대의 과제로 떠올랐다.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은 26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오찬을 한 자리에서 “우리는 미국과 대화할 용의가 있음을 이미 여러 차례 밝혔다”고 언급했다고 청와대 핵심 관계자가 밝혔다.
미국은 현재 북한이 비핵화의 의지 또는 진정성을 표시해야 대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다. 백악관은 25일(현지시간) “우리는 대화할 의향이 있다는 북한의 오늘 메시지가 비핵화로 가는 길을 따르는 첫걸음을 의미하는지 볼 것”이라며 “우리는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한반도 비핵화를 이루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북한은 전날 북미대화에 응할 용의가 있다고 밝히면서도 비핵화 의제화 여부에 대해서는 명시적으로 입장을 표시하지 않고 있다.
대화의 조건을 둘러싼 북미 간의 대치가 이어질 경우 문 대통령이 어떻게 ‘중재외교’를 구사하느냐에 따라 의미있는 돌파구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문 대통령은 북미대화 용의를 밝힌 북한 대표단에 비핵화 대화의 중요성을 직접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이 원칙적 입장에서 더 나아가 비핵화를 위해 어떤 방법론을 택해야 한다는 얘기까지 했다”며 “그러나 대통령이 언급한 방법론을 전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는 대화의 문턱을 낮추고 북한의 정확한 의중을 시험해보는 ‘탐색적 대화’에 나설 것을 적극 설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워싱턴으로 돌아가는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보좌관이 문 대통령의 뜻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북미를 대화 테이블로 끌어들이는 데 있어 중국의 ‘역할’도 중시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류옌둥 중국 부총리를 접견한 자리에서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의 동시 개선을 통한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시키고 중국이 적극 지지해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외교적 노력에 힘입어 북미대화가 일정 궤도에 오르면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본격적인 사전정지 작업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