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 임금 동결·성과급 지급불가 등
대폭 후퇴한 복리후생 교섭안 준비
노조 “구조조정 저지 생존권 사수”
한국GM 노사가 이번 주 경영정상화 방안을 놓고 교섭을 재개한다. 글로벌GM의 신차배정 등 이달 말까지 정한 시한을 앞두고 노사가 테이블에 마주 앉는 만큼 향후 한국GM 문제 해결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27일 한국GM 등에 따르면 노사는 오는 28일 오전 부평공장에서 2018년도 임금 및 단체협약 3차 교섭을 재개한다. 노사는 지난 7일 올해 첫 임단협 상견례 및 협상에 나서 모두 2차례 교섭을 했지만, 군산공장 폐쇄 발표와 설 연휴 등이 이어지면서 후속 협상은 중단됐다. 이번에 재개되는 교섭에서 사측은 임금 동결 및 성과급 지급 불가, 승진 유보 등 대폭 삭감된 복리후생안을 담은 교섭안을 노조에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한국GM 노사 임단협이 중요한 것은 글로벌GM이 신차물량 배정에 있어 비용절감을 가장 큰 고려 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GM이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신차를 배정받아 생산물량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 결정을 글로벌 GM이 내리기 때문에 한국GM이 임단협을 통한 비용절감 노력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한국GM이 이미 납품받은 자동차 부품을 반품한다는 사항을 두고 위법행위 여부를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 업무보고에서 “부당 반품은 심각한 법 위반인 만큼 하도급법 위반 여부를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답변했다. 또 한국GM 차량 단종에 따른 소비자 보호 문제에 대해서도 강화된 소비자분쟁 해결기준이 조만간 공포되는 만큼 문제를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GM노조는 28일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공장폐쇄 철회, 구조조정 저지, 30만 일자리 지키기 금속노조 결의대회’에 참석하고 청와대까지 행진을 진행할 예정이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글로벌GM의 자본투자 및 시설투자에 대한 확약과 한국GM 실사에 노동조합의 참여를 보장받고 생존권을 지키겠다는 우리의 요구를 전달하기 위함”이라며 “미국 대사관 앞에서 사전집회를 하는 것은 글로벌GM에 대한 우리의 요구를 촉구하고 전달하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