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저금리 시대에도 은행예금 증가추세…작년 증가폭 6년만 최대

은행권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수치를 맴돌고 있음에도 은행 정기예금에 계속 돈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 투자를 꺼려하는 기업들의 대기성 자금이 예금으로 유입된 데 이어, 대출 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은행들이 예금을 늘린 영향도 있기 때문이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은행권의 정기예금 잔액은 617조 4천699억 원으로 전년대비 5.2%(30조 4천933억 원) 증가했다. 정기예금 잔액이 600조 원을 넘긴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며, 증가율과 증가액 모두 지난 2011년(12.1%, 60조 8천95억 원) 이후 가장 컸다.

 

예금 기간별로 보면 만기가 1년 미만인 단기 예금 중심으로 늘었다. 만기 1년 미만 정기예금 잔액은 206조 4천70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4%(26조 334억 원) 증가했다. 그리고 2년 이상~3년 미만(19조 412억 원, 18.5% 증가)ㆍ3년 이상 장기 예금(16조 8천125억 원, 5.6% 증가)ㆍ1년 이상~2년 미만(375조 1천454억 원, 0.7% 증가) 적금 순으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전체 정기예금 증가액의 85% 이상이 1년 미만 정기예금에서 불어난 셈이다.

 

정기예금은 가계나 기업이 일정 기간에 돈을 넣어둔 뒤 약정한 이자를 받는 저축성 예금으로, 금리가 낮을수록 투자 매력도가 떨어진다. 기준금리가 지난해 11월 말까지 사상 최저인 1.25% 수준을 밑돌았던 점을 고려하면 이 같은 정기예금 증가는 이해하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정기예금 증가 배경으로 시중 부동자금의 유입을 지목했다.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저금리를 활용한 회사채를 발행했지만 경제 상황이 불투명해 투자를 꺼려한다는 것이다. 이어 가계에서 주택 구입 등을 위한 대출 수요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은행들은 대출금을 마련하기 위해 예금금리를 소폭 높여 예금 자금을 유인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자산분석팀장은 “통상 대출이 늘어나는 상황에선 예금도 많이 늘어나게 된다”며 “가계와 기업의 부채는 계속해서 늘어나는 데 자금을 운용할 곳은 마땅하지 않은 상황에서 은행 쪽에 대기성 자금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밝혔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