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대북 특사 파견을 공식화한 것에 대해 여야가 엇갈린 입장을 내놓았다.
여당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마련된 남북 화해 무드를 이어갈 수 있다고 긍정 평가를 내놓은 반면 야당은 ‘북한 비핵화’를 선결조건으로 내놓으면서 ‘평화 공작’이라고 반발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에서 “북한 고위급 대표단 방남시 논의했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북한 김여정 특사의 답방 형식으로 대북 특사를 조만간 파견할 계획이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2일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반도 평화 분위기를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의미에서 대단히 시의적절한 결정이다”며 환영 일색했다.
이어 “정부는 살얼음판을 걷는 심정으로 북·미, 미·북 사이에 있는 불신을 걷어내야 한다”며 “대북특사 이후에는 대미특사도 함께 보내 북미 간 대화를 적극적으로 중재하고 평화의 결실을 맺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거짓 평화회담의 가능성을 제기하며 우려를 표명했다.
한국당 정태옥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현시점에서의 남북회담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핵 폐기를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님이 분명하다”며 “북핵 대화가 북의 핵을 용인하는 거짓 평화회담의 가능성이 우려되는 문제를 분명히 지적한다”고 말했다.
또 같은 당 홍지만 대변인은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명균 통일부 장관, 서훈 국정원장 등 대북특사로 거론되는 인물을 거론하면서 ”특사를 보내더라도 가려서 보내라고 요구한다. 다음(이들) 3인은 절대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주사파에서 전향했다고 공개적으로 말하기를 끝내 거부하는 임 실장, 현송월의 공연에 눈물을 흘렸고 김영철도 천안함 사태의 책임자가 아니라는 조 장관, 친북 대화 놀이에 푹 빠져 있는 서 원장이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바른미래당 유승민 공동대표도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대북특사 이전에 대미특사를 워싱턴에 파견하든지 아니면 문 대통령이 직접 트럼프를 만난다든지 해서 한미동맹의 긴밀한 조율과 공조가 우선임을 분명히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미연합훈련이 평창패럴림픽이 끝난 후에 규모가 축소되거나 연기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며 “북미 대화의 조건은 비핵화라는 미국의 입장과 대한민국의 입장이 결코 다를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