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통’ 정의용·‘대북통’ 서훈 등 관련부처 고위직 참여
김여정 방남 답방 형태… “김정은 메시지 듣는 게 중요”
청와대는 4일 대북특사단으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단장으로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등을 결정했다.
이들 외에 실무진 5명을 포함해 총 10명이 방북한다. 이들의 파견은 미국과 긴밀히 협의하면서 이번 방북에서 반드시 성과를 내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매머드급 특사단… 북미대화 과제
이번 대북 특사단은 북·미 대화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각별한 관심을 전달하러 가는 것이다. 따라서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과 윤건영 국정상활실장 천혜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정원 2차장 등 유관 부처의 고위직들이 참여하게 된 것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특사단 파견 목적에 대해서는 “남북 관계와 북·미 대화에 대해 북한이 어느 정도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며 “북한이 생각하고 있는 여러 이야기들을 듣고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방남했을 때 정부 기관과 릴레이 회담을 했던 걸 생각하면 된다. 실무선에서 이야기하는 수준은 넘어설 것”이라고 말했다.
대북 특사가 평창 동계패럴림픽 개막(9일) 전 파견된다면 북한이 패럴림픽에 고위급 대표단을 다시 내려 보낼 개연성도 있다. 이 경우 미국의 평창패럴림픽 대표단장으로 임명된 커스텐 닐슨 미 국토안보부 장관과의 접촉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정은과 면담, 대남·대미 메시지 관심
무엇보다 이번 대북 특사 파견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제1부부장이 특사 자격으로 방남한 데 대한 답방 형태다.
정부가 답방 형태로 대북 특사를 파견키로 결정함에 따라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형성된 남북 관계 개선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북미 대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중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가 파견한 대북 특사는 김정은 위원장과 면담하고 친서를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북한의 최고 결정권자인 김 위원장의 대남·대미 메시지를 읽을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대북특사에 대미 전문가인 정 실장이 특사에 포함된 점은 북미 대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수순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북한 측이 발신한 메시지를 토대로 미국 측에 관련 입장을 전달해 본격적인 북미 대화 중재에 나설 전망이다.
특히 김정은 위원장이 특사와 면담하는 자리에서 ‘탐색적 대화’나 ‘예비 대화’가 개시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한다면 북미 대화에는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북한이 전향적 태도 없이 핵보유국 지위를 갖고 북미 대화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거듭 피력한다면 정부의 북미 대화 중재 노력이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