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체육관 건립 갈등, 실마리 못찾고 2라운드 확대

道 “미세먼지 근본적 대책 안돼
공기정화장치 설치에 예산 투입”
도의회 민주당 “임시방편에 불과”

경기도내 초ㆍ중ㆍ고교 실내체육관 건립을 둘러싼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민주당 간의 갈등이 ‘공기정화장치’라는 암초를 만나면서 2라운드로 번질 전망이다. 특히 도의회 한국당이 도와 함께 공기정화장치 확대를 주장하며 도의회 내부에서도 분열이 감지, 향후 실내체육관 건립 추진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8일 도와 도의회에 따르면 미세먼지 문제가 갈수록 심해지면서 운동장에서의 체육활동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도의회 민주당은 2018년도 예산안에 실내체육관 건립을 위한 1천190억 원을 편성했다. 그러나 도는 체육관 설립에 대한 투자심사 등 행정절차가 선행돼야 한다는 이유로 체육관 건립 예산을 부동의했다.

 

더욱이 도는 현재 행정절차 외에도 실내체육관이 미세먼지의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며 반대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실내체육관 내부의 공기가 무조건적 깨끗하다고 할 수 없는데다 실내 공기 향상을 위해서는 친환경 제품 등을 갖춰야 해 천문학적인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도는 학교와 취약계층 다중이용시설을 우선으로,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는 데 예산 투입을 강조, 도의회와의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도의회 한국당도 ‘공기정화장치’ 설치를 강조, 도와 입장을 함께하면서 실내체육관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도의회 한국당은 이날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권미나 의원을 좌장으로, ‘실내공기질 최적관리방안 도출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갖고 도내 학교와 다중이용시설의 미세먼지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윤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등 전문가들은 실내공기질 향상을 위해서는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분당ㆍ수서간 도로 등 인근에 큰 도로가 위치한 성남 정자초등학교를 시범으로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했더니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치 이하로 변화됐다”며 “많은 학생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에서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공기정화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도의회 민주당은 공기정화장치는 임시방편일뿐, 미세먼지 문제를에 대한 확실한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ㆍ비례)은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관점이 서로 다른 탓에 정책 추진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것”이라며 “그러나 체육관은 아이들이 미세먼지로부터 걱정없이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나아가 지역 주민들도 안전하게 생활체육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시설”이라고 강조했다.

한진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