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 GM 지속가능한 경영정상화 내놓아야 정부지원 가능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한국GM의 국내 체류 의지가 강하다고 평가하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영정상화 계획을 내놓는 것이 정부 지원의 판단 기준이 된다고 언급했다.

 

최 위원장은 14일 기자간담회에서 “한국GM 경영 정상화는 자동차 산업과 지역경제, 고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사회적인 공감대 형성이 중요한 문제”라며 “정부 지원은 GM이 내놓은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하며 구체적인 경영정상화 방안과 연관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내일부터 진행되는 한국GM에 대한 실사는 시간에 쫓겨 필요한 부분을 다 못 보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한국GM 실사가 중요해져 가고 있는 만큼 금융분야와 관련해 금융위와 산업은행이 해야 할 역할을 게을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산업은행은 한국GM이 실사를 성실히 받을 경우 대출 지원에 나설 수 있다고 언급, 한국GM 경영정상화에 긍정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은행 측은 이날 실사기간 한국GM 운영자금이 부족해지면 산업은행이 그 일부를 대출해달라는 요구에 이 같이 답변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한국GM이 다음 달 하순께 유동성 문제가 있을 경우, GM이 실사에 필요한 자료를 충분히 제출하고 확실한 담보를 제공한다는 조건으로 산업은행의 지분율 만큼의 자금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산은은 지난 12일 GM 측과 실사를 위한 킥오프 미팅을 진행했으며 이날부터 본격적인 실사에 돌입했다. 산은과 GM은 일단 실사기간을 2개월로 합의했지만, GM 측의 협조 여부에 따라 실사기간은 변동될 수 있다고 산은 측은 덧붙였다.

 

반면 한국GM 노조는 GM 등 사측이 적자경영 책임을 근로자들에게만 전가시켜 일방적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노조 측은 15일 부평공장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노조의 임금단체협상 요구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들은 사측이 복리후생비를 모조리 삭감하고 노조 전임자 임금도 대폭 삭감하는 등 임단협 개악안을 제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렇다보니 앞으로 진행될 노사 임단협 합의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관련업계의 우려가 나오고 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