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철강관세 이번주 시행… 도내 철강업체 운명의 한주

운명의 한 주가 시작됐다. 미국의 수입 철강재 25% 관세 시행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부가 막판 총력전을 펼치고 있지만 우리나라가 관세 대상에서 제외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오히려 철강 관세와 별개로 진행해 온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까지 연계되면서 상황은 한층 복잡해졌다. 협상 결과에 따라 생태 변화가 불가피한 도내 철강업계는 추이를 지켜보는 동시에 관세 문제를 해결할 ‘묘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조심스레 하고 있는 상황이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행정부는 23일(이하 현지시간)부터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각각 25%, 10%씩 관세를 부과한다. 지난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것이다. 

다만 협상 가능성은 열어 뒀다.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맺고 있는 캐나다와 멕시코, 전통적 우방인 호주가 ‘시범 사례’였다. 앞선 9일 미국은 이들 국가를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했다. 한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에 ‘철강 관세를 면제해 줄 수 있다’는 일종의 메시지를 보낸 셈이다.

 

우리 정부도 관세 면제 대상국에 이름을 올리기 위한 협상에 돌입했다. 통상당국은 지난 15일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한미 FTA 3차 개정협상에서 ‘FTA 개정’과 ‘철강관세 면제’ 이슈를 연계해 협상을 벌였다. 우리 측은 이 자리에서 25% 관세 조치 관세의 부당성을 역설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관세 면제 문제는 결국 매듭짓지 못했고, 우리 협상단은 관세 시행 전까지 미국에 남아 계속해 설득을 이어가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철강 관세와 한미FTA를 연계하려는 상황에서 FTA 협상이 실질적인 진전을 거둔 만큼 철강 관세 부분에서도 구체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대로 미국이 무리한 요구를 할 경우 한미FTA 협상마저 난항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 속에 도내 철강업체들은 협상 결과가 사실상 마지막 희망의 끈이 될 수 있다며 노심초사 중이다. 한국무역협회 경기남부지역본부에 따르면 경기도 소재 철강업체의 지난해 대미 철강 수출액은 5억 7천700만 달러에 달한다. 협상 결과에 따라 수출액이 반토막 나는 것은 물론 업체의 3분의 1 이상이 도산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안산에 소재한 철강 제조업체 A사 대표는 “어떻게 피해를 최소화할지 여러 전략을 검토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며 “이번 사태를 타산지석 삼아 다시는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가 협상을 마무리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