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남북·북미정상회담을 사이에 두고 한미와 한일, 한중일 정상회담까지 ‘릴레이회담’을 소화할 가능성이 거론돼 주목된다. 남북정상회담이 4월말, 북미정상회담이 5월 중 개최될 예정인 가운데 남북정상회담 후 숨 가쁜 정상외교를 이어간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이번 주부터 4월말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실무 작업에 본격 돌입한다. 또 북핵 문제의 ‘담판 회담’이 될 5월 북미정상회담 개최 이전에 의제 등을 조율할 한미정상회담과 한일 또는 한중일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의견 조율에도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와대는 이번 주 초에 우리 태권도 시범단과 예술단의 평양 공연을 추진하기 위한 실무회담을 판문점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8일 기자들과 만나 “지난 16일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첫 회의가 끝나고 통일부와 국가정보원 등의 채널을 통해 금주 초 실무회담을 개최하자고 제안했을 것”이라며 “애초 4월 초 (공연)한다는 게 합의내용이었으니 (시간이) 얼마 안 남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3월 말에는 제3차 남북정상회담의 큰 틀을 결정할 남북 고위급회담이 개최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2일부터 28일까지 베트남·UAE(아랍에미리트) 순방길에 올라 귀국한 이후 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점쳐지지만, 고위급회담 대표이자 정상회담 준비위 총괄간사인 조명균 통일부장관은 순방에 동행하지 않는데다 정상회담까지 일정상 속도감을 위해선 순방 기간내 열릴 가능성도 적지 않아 보인다.
한일, 한중일 정상회담도 지난 16일 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전화통화에서 거론됐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양 정상이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을 가급적 이른 시기에 개최하기로 했으며, 한일 셔틀외교가 양국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차원에서 문 대통령의 방일을 실무진 차원에서 날짜 조정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북미정상회담 전 한일, 한중일 정상회담을 개최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백악관이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간 16일 통화내용을 설명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의 ‘5월 말’까진 만날 계획이라고 설정한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