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온 운명의 날…철강업계 사업 규모 감축·구조조정 들어가나

▲ 22일 평택항 부두 야적장에 열연코일 등 철강제품들이 쌓여 있다. 미국의 철강 관세 시행을 하루 앞두고 국내 철강업체들의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정부는 한국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기 위해 미국과 막바지 협상을 하고 있다.전형민기자
▲ 22일 평택항 부두 야적장에 열연코일 등 철강제품들이 쌓여 있다. 미국의 철강 관세 시행을 하루 앞두고 국내 철강업체들의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정부는 한국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기 위해 미국과 막바지 협상을 하고 있다.전형민기자

정부가 미국의 철강관세 부과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가운데 도내 철강 관련 업계가 사업 축소 등 몸집 줄이기 및 새로운 수출 국가 판로 개척 등을 통한 활로를 모색하고 나섰다.

 

외교부는 22일 하루 앞으로 다가온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 철강 관세 시행과 관련,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가 관세 시행 전에 면제될지 아니면 시행 이후인 4월말까지 협상을 계속하는 유예국에 포함될지는 이날 밤늦게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철강 관세는 한국시각으로 23일 오후 1시부터 시행된다.

 

이에 도내 철강 수출업체들은 미국 내 기존 고객과의 재협상 및 내수 시장 유입 등 판로를 개척하고 있으며, 사업 규모 축소와 구조조정 등 몸집 줄이기도 감내한다는 계획이다. 시흥ㆍ의왕 등 도내에서 11개 대리점과 물류센터를 운영 중인 철강업체 A사는 연 매출액이 4천억 원에 이르지만 관세 부과시 비용 절감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A사의 주력 제품은 일반배관 및 송유관으로, 전체 제품의 약 42%가 미국 수출용으로 비중이 크다.

 

이에 A사는 관세부과가 시작되면 미국 내 기존 고객과의 가격을 협상하는 한편 다른 국가로의 수출판로도 모색하고 있다. 또 추가비용 절감이 여의치 않을 경우 일부 대리점 폐점 및 구조조정도 고려하고 있다. A사 관계자는 “최저임금 상승과 근로시간 단축이 연달아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관세까지 부과되면 최악에는 구조조정이 필연적”이라고 하소연했다.

 

수출 기업뿐만 아니라 내수 비중이 높은 기업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배관ㆍ기계구조용 탄소 강관 제조업체인 화성 소재 B사는 내수 상품 비중이 90%를 넘지만 관세가 부과될 경우 수출에서 내수로 전환한 타사 제품 유입을 걱정하고 있다. 이 경우 업체 간 과열경쟁에 따른 생산량 감소, 단가 낮추기 등이 불가피해 결국, 경영을 압박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B사는 최근 몇 년치의 제품 수요 및 거래량을 분석, 생산라인 가동을 축소하거나 감원까지 고려하는 등 타개책 마련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에 대해 김기흥 경기대 경제학과 교수는 “우리나라가 미국 내 철강수출 3위국인 만큼 관세 부과는 기업들에 치명적”이라며 “정부 차원의 협상력 발휘가 필요하며 기업 차원에서도 미국기업과의 협업 등으로 관세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내 철강관련 수출업체는 모두 253개사로, 대미 수출액은 5억7천700만 달러(6천 180억 원)에 달했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